earticle

논문검색

한문 단편소설 <王秀才娶得龍女說>의 서사적 특징

원문정보

The narrative feature of the short story novel <Wang Sujae married the daughter of the Dragon King.>

한문 단편소설 <왕수재취득용여설>의 서사적 특징

권혁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epic feature of the novel, "Wang Sujae is Married to a Dragon Woman.” For this purpose, Chapter 2 identified the contents of each paragraph of . Chapter 3 identified the epic characteristics of based on Chapter 2. In summary, it is as follow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introductory, the main, and the final. The introductory partIt depicts the birth and growth process. The main body describes the process of Wang Sujae to kill nine-tailed Gumiho and become a hero and greet his wife. The conclusion concludes with the conclusion of the Goryeo Dynasty by Wang-geon and the evaluator's assessment that is not fanciful. There are three epic features of . First, this story brought an overall narrative from the original story of the 󰡔Samguk Yusa󰡕, to modify or create new content. Second, the interest of the reader was increased through language entertainment. Third, the story was enhanced by the way it was commented.

한국어

본고는 한문 단편 소설 <王秀才娶得龍女說>을 분석하여 서사적 특징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王秀才娶得龍女說>의 단락별 내용과 전체 서사구도를 점검하였고,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王秀才娶得龍女說>의 서사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王秀才娶得龍女說>은 크게 도입부 → 본론부 → 결론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었다. 도입부는 왕수재의 탄생과 성장과정을 그리고 있다. 본론부는 다시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1)~(3)까지는 왕건의 아버지인 왕륭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왕륭이 통신사의 일원이 되고, 서해용왕 아들[西海龍王之子]의 부탁으로 구미호를 퇴치하고 영웅이 되어 아내를 얻은 과정을 다루고 있다. (4)는 왕수재에서 왕건으로 이야기가 전환되는 부분으로 왕수재가 개성 송악산 아래에 거처를 정한 일, 도선대사의 예언으로 왕건이 탄생한 일, 왕수재에서 왕건으로 영웅의 계승이 이루어지면서 왕수재와 용녀가 이별하게 되는 일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 결론부는 왕건이 ‘生而知之’한 비범한 인물이로서 고려를 건국한 내용과 <왕수재취득용녀설>이 터무니없는 이야기가 아니라 이유가 있는 이야기라는 논평자의 논평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다음으로 <王秀才娶得龍女說>의 서사적 특징을 살폈는데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었다. 첫째, 원천설화인 󰡔삼국유사󰡕의 거타지 설화에서 전반적인 서사구도를 취해오되, 구체적인 내용은 거타지 설화의 내용을 변개했거나 새로 창작했다는 점이다. 이는 <王秀才娶得龍女說>이 작자의 창작이 가미된 작품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언어 유희를 통한 독자의 흥미 제고이다. <王秀才娶得龍女說>은 야담계 한문소설로 시정에서 口演을 거쳐 기록된 것이기에, 구연과정에서 흥미를 돋우기 위해 가미되었던 언어유희가 문자로 기록되면서 자연스럽게 정착된 것으로 짐작된다. 셋째, 논평 형식을 통한 사실성의 강조이다. 논평은 야담계 소설에서 간간이 발견되는 특징이라는 점에서 <왕수재취득용녀설>의 특징적인 면모로 볼 수 있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王秀才娶得龍女說>의 단락별 내용과 서사구도
Ⅲ. <王秀才娶得龍女說>의 서사적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혁명 Kwon Hyok Myong. 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교육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