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Feedback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dea Performance
초록
영어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measur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which is the concept that pursue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s idea performance. In detail, this research examines organization’s behavior factor for achieving innovative performance in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by establishing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effort to establish innovative system on idea performance via corporate entrepreneurship. Furtherm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posi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feedback activity for innovative behavior on innovative performance by proving that innovative activity feedback (process-oriented feedback, output-oriented feedback) is a factor that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system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dea performance Research hypothesis and model are presen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data for hypothesis verification was collected by surveying the corporations perform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related activities. On October of 2015, the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KoEF) surveyed domestic corporations on the level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as a result, data from 1,039 corporations were collected.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using AMOS 22.0 and SPSS 21.0, we analyzed the confidence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performed hypothesis verification (main effect, regulation effect). The main effect analysis establishes that the innov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 idea performance have posi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 regulation effect analysis establishes that the process-oriented feedback and output-oriented feedback are the factors that improve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the research proves that the various feedback activities about organization’s innovative activity contributes to enhanc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using AMOS 22.0 and SPSS 21.0, we analyzed the confidence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performed hypothesis verification (main effect, regulation effect). The main effect analysis establishes that the innovative system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dea performance have posi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 regulation effect analysis establishes that the process-oriented feedback and output-oriented feedback are the factors that improve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innovative system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the research proves that the various feedback activities about organization’s innovative activity contributes to enhanc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혁신을 추구하는 개념인 사내 기업가정신과 조직의 혁신적 아이디어 성과간의 관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혁신적 조직구조가 사내 기업가정신을 통한 혁신적 아이디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찾음으로써, 혁신적인 성과 달성을 위한 조직의 행동요인을 사내 기업가정신관점에서 살펴본다. 더불어, 혁신활동 피드백(과정 피드백, 결과 피드백)이 혁신적 조직구조와 사내 기업가정신, 그리고 아이디어 성과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임을 증명함으로써, 혁신적 행동에 대한 조직차원의 피드백 활동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제시한다. 연구 가설 및 모델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제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데이터는 사내 기업가정신 관련 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들로서, 2015년 10월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이 사내 기업가정신 수준에 대하여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1,039개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 모델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그리고 가설검증(주효과, 조절효과)을 실시하였다. 주효과 분석 결과는 혁신적 조직구조와 사내 기업가정신, 그리고 혁신적 아이디어 성과 간의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과정 피드백과 결과 피드백이 혁신적 조직구조와 사내 기업가정신과의 긍정적 관계를 더욱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의 혁신활동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 활동 및 혁신조직 구조 확립은 사내 기업가정신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을 증명되었다. 본 결과는 실무적으로, 혁신적 활동을 통해 창의적 성과를 추구하고자 하는 조직들에게 사내 기업가정신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론적으로 사내 기업가정신 향상을 위한 세부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사내 기업가정신 관련 확장 연구로서의 시사점을 가진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혁신적 아이디어 성과
2. 사내 기업가정신
3. 혁신적 조직구조
4. 피드백
III. 연구 모델 및 방법
1. 연구 모형
2.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3. 측정항목 구성
IV. 결과 분석
1. 표본 특성 분석
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 주효과 검정
4. 조절효과 검정
V.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