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불교사상에 나타난 불교의 효 윤리

원문정보

Filial Piety of Buddhism demonstrated in Chinese Buddhism ideas

강기선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29호 2019.06 pp.1-1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has explored into the filial piety of Buddhism demonstrated in Chinese Buddhism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Buddhist scriptures as to filial piety and their contents and the action plan of filial piety in modern days. One of the major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settling Buddhism transferred from India in China was its conflict with ‘filial piety’. The Chinese found the ritual of taking the tonsure and changing clothes to enter the Buddhist priesthood shameful as it was considered going against filial piety. As a countermeasure, the Chinese Buddhism compiled and published a variety of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language. These efforts helped the Buddhism gradually settled in the minds of Chinese people, which led to translating a lot of filial piety Buddhist scriptures into the Chinese language. The key aspect of filial piety taught by these Buddhist scriptures primarily starts with the pure love and affe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helping parents return to Sambo (Buddha, the law of Buddha and a Buddhist monk) and regain the nature of Buddha while being exempted from the pain of birth and death eternally is found to be the greatest filial piety. The scope of filial piety is not limited to one's lifetime but is extended beyond the limit of life and death to helping parents even through the upmost way of Heaven. In addition, the filial piety taught by the Buddhist scriptures is a characterized by a horizontal, reciprocal, and equal filial piety with parents’ benevolentness and children’s respect going hand in hand and the duty of practicing filial piety among all creatures in an equal manner based on the Buddhist Philosophy. This requires a precondition that a democratic and mutually equ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the filial piety in Buddhism is an equal, universal, and lateral teaching for all, and the ultimate value sought by the filial piety of Buddhism is to help all creatures restore the nature of Buddha while escaping from 84,000 pains and sufferings through the pursuit of virtue and goodness.

한국어

본 논문은 중국불교사상에 나타난 불교의 효 윤리를 중국의 효 관련 불교경전과 그 내용, 효 윤리의 현대적 실천방안의 측면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파된 이래, 중국 땅에서 정착하는 과정에서 당면했던 문제들 중의 하나가 윤리 개념인 ‘효’와 상충한다는 것이었다. 중국인들은 출가 수행자 의 삭발염의가 불효에 해당한다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불교에서 시행한 것이 다양한 효 관련 불교경전들을 중국의 언어로 찬술ㆍ번역하는 사업이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불교는 중국인들의 사유 속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많은 효관련 불교경전들이 중국에서 번역되면서 존재하게 되었다. 이들 불교경전에서 교설된 효의 핵심은 1차적으로는 부모와 자녀간의 순수한 자애(慈愛)의 효행으로부터 출발하여, 2차적으로는 부모가 삼보(三寶)에 귀의하여 영원히 생사의 고통을 면하고, 불교의 근본 목적인 불성(佛性)을 되찾게 해주는 것이 가장 큰 효라고 하고 있다. 이것은 일생에 국 한된 효가 아니라 태어남과 죽음(生死)의 한계를 넘어서 지극한 천도(薦度)를 통해서까 지 부모님을 구제하는 데까지 효의 영역을 확대하여 적용시키고 있다. 그리고 또한 불교경전에서 교설되고 있는 효행(孝行)은 부모의 자애와 자녀의 공경 을 함께 언급한 수평적이고 상호적으로 평등한 효행이라는 점과 연기법에 의해 일체중 생에게 평등한 효도를 행해야 한다는 것이 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부모와 자녀간의 특권의식이 없는 서로 존중함과 배려심이 있는 평등한 관계를 전제로 했을 때 가능하다. 따라서 불교의 효는 만인에게 평등하고 보편타당한 수평적 교설이라는 것과 아울러 불교 효 윤리가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는 깨달음의 윤리인 선(善)의 추구를 통해 일체 모든 중생들이 8만 4천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불성을 회복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중국의 효 관련 불교경전과 내용
Ⅲ. 효 윤리의 현대적 실천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기선 Kang, Ki-Sun. 동국대학교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