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오늘날의 미술관은 소장품을 보여주는 공간에 그치지 않고 문화를 재탄생 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역할을 한다(김여운,2016).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예술적 경험과 문화적 가치를 창출 하지만 미술관은 이러한 역할과 더불어 예술을 삶에 적용하고 또 다른 예술을 재생산하기 위한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지닌다. 그러나 오늘날의 미술관은 공급 측면에서 시설 과잉인 반면 수요측면인 고객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미술관 관람객을 증대시키기 위한 미술관의 연구 또한 증가하였으나 미술관 관련 선행연구는 주로 박물관과 통합되어 연구되어져 왔으며 미술관 자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김주현 외, 2015)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사후조사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람객과 만족도에 대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확대되는 시점에서 다각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의 만족과 불만족, 충족 불충족의 이원적 접근 방법론인 KANO모형을 사용하여 미술관의 주요 속성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속성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KANO 속성 분류에 따라 매력적 속성 7개, 일원적 속성 5개, 당연적 속성 1개, 무관심 속성 1개가 파악되었다. 또한 Timko의 고객만족 계수 결과 만족계수가 높은 속성은 흥미로운 전시 방법, 불만족계수가 높은 속성은 미술관 내 편의시설로 도출되었다. 또한 고객의 요구가 충족되었을 때 만족도가 얼마나 올라갈 수 있는가를 파악한 지수인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 측정 결과 미술관내 편의시설과 전시내용의 다양성이 가장 높은 속성으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