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한국민족종교에 대한 세계문명사적 조명-문명(종교)기축적 접근을 통한 신종교 연구의 새로운 방향과 방법론 제안-

원문정보

A View on Modern Ethnic Religion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Civilization History -Suggestion of a Direction and Methodology for a New Religion Study through an Axial Civilization(Religion) Approach-

전홍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historical topography of the Korean Peninsula in modern age, there are ethnic religion cultures including Donghak (Cheondoism), Jeungsanism, Daejongism and Won Buddhism that creatively connected and integrated universal and historical axial religions of humankind based on indigenous ethnicity. This paper was designed to publicize the orientation of the Korean people that guarantees the currentness and futurity in terms of the civilization history through studies on new ethnic religions that are placed on the ground called the empathic, spiritual and ecological modernity of the third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As is well known, the 21st century asks for a ‘coexisting civilization view’ led by ‘Homo-Empathicus’, which is a new mutual area of spirit, rationality, sensibility and sympathy. This trend of the civilization history is raising the sensible temperature by intersecting with the ideal era of human liv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online and offline, so-call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ed a new direction and methodology for a study on new religions of the modern Korean people and discussed thoroughly to set a foundation for an axial civilization (religion) theory as a universal history of the world that suggests ‘one big picture (universality) that views the history of humankind pluralistically (diversity)’. In addition, the paper aimed to secure life universalism based on axial religions (civilization) of the human history that embraces ethnicity, East Asian characteristics and globality related to a modern discourse of civilization, which can be referred to as singular universality and plural diversity.

한국어

근대기 한반도의 역사지형에는 고유한 민족적 영성에 토대하여 인류보편사적 기축종교들을 창조적으로 연결ㆍ통합시킨 동학(천도교),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 등의 민족종교문화가 자리한다. 본고는 3ㆍ4차 산업혁명의 변환된 공감ㆍ영성ㆍ생명생태적 근대성이라는 지반 위에서 상기上記한 제반 신종교적 민족종교 연구를 통해 현재성과 미래성이 담보된 한민족의 세계문명사적 정위定位의 문제를 공론화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잘 알려진 대로 21세기는 영성, 이성, 감성, 공감의 새로운 합의 영역인 ‘호모 엠파티쿠스(Homo-Empathicus)’와 그들이 영도하는 ‘공존주의 문명관’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문명사적 추세는 온ㆍ오프라인의 융합을 통한 인간 삶의 최적화 시대, 이른바 4차 산업혁명과 교차하면서 체감의 온도를 높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근대 한민족 신종교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을 제안하며 ‘인류사를 다원적으로 조망(다원성)하는 하나의 전체상(보편성)’을 제시하는 세계보편사로서의 기축문명(종교)론에 정초할 것을 논구했다. 더불어 현대 문명담론과 관련된 단수적 보편성과 복수적 다원성, 즉 민족성, 동아시아성, 세계성을 포용하는 인류사의 종교(문명)기축적 생명보편주의를 확보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이끄는 말
Ⅱ. 기축종교: 세계문명의 본질적 유형
1. 기축시대 인류보편적 실존영성
2. 중세 세계문명권의 형성과 유형
Ⅲ. 민족종교: 연구제안의 내용과 방법
1. 세계문명사적 정위(定位)
2. 연구제안의 방법론
Ⅳ. 끝맺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홍석 Jeon, Hong-seok.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