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황해도굿 장단의 무속적 의미

원문정보

A Shamanistic Implication of the Hwanghaedo-gut Jangdan

홍태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n article that has contemplated the shamanistic implication of the Hwanghaedo-gut (gut: shaman dance) Jangdan (rhythm). With respect to the reality of the Hwanghaedo-gut Jangdan to this day, it has not been clearly contemplated that the dance- accompanied Jangdan of Geoseongjangdan was actually known to be the Insa Jangdan while the Makjangdan that is not actually existed has been known to be representative Jangdan of Hwanghaedo-gut that there is a very little outcome on the Hwanghaedo-gut Jangdan. Under this article, on the basis of data surveyed by the writer to this point, actual 10 Jangdans of the Hwanghaedo-gut is presented together with the detailed aspects, and it is divided into dance- accompanied Jangdan and song-accompanied Jangdan to take a look at the respective function and implication. It has taken a look at individual gutgeori (shaman song) to present that the Hwanghaedo -gut Jangdan is closely related to the gutgeori performance. Therefore, the Hwanghaedo-gut Jangdan has demonstrated Cheongbae (calling out the spirit) and Gangsin (presence of spirit) of spirit as the dance-accompanied Jangdan is profoundly related to the gut performance, and in particular, it presents that the Geoseong-Dance along the Geoseongjangdan is extremely important implication. In addition, the Mansebati Jangdan is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spirit that, for the case of the spirit with high esteem, the Long-Mansebati Jangdan was used while the case of low-esteem spirit was presented to use the Voluntary Mansebati Jangdan. In addition, in order to display the artistic and entertainment features of the spirit, it has taken a look at the dance-accompanied Jangdan in Samhyeon Jangdan and the song-accompanied Jangdan in taryeong (traditional Korean ballad) Jangdan. Currently, the Hwanghaedo-gut has been actively followed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others that it would be considered as the gut settled in the south, not the gut coming down from the north. Therefore the status and value of Hwanghaedo-gut have to be acknowledged as one of Seoul-gut, Incheon-gut, Gyeonggi- gut.

한국어

이 글은 황해도굿 장단의 무속적 의미를 살핀 글이다. 그동안 황해도굿 장단의 실상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살피지 않아 실제로는 춤 반주 장단인 거성장단을 인사장단으로, 존재하지 않는 막장단이 황해도굿의 대표적인 장단으로 알려져 있을 만큼 황해도굿 장단에 대한 성과는 미진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그동안 글쓴이가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황해도굿의 실제 장단 10여 가지를 구체적인 양상과 함께 제시하였고, 이를 다시 춤 반주 장단과 노래 반주 장단으로 나눠 기능과 의미를 살폈다. 개별 굿거리를 살펴 황해도굿 장단이 굿거리 연행과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황해도굿 장단은 춤장단이 굿의 연행과 깊은 관련이 있어 신령의 청배와 강신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거성장단에 맞춘 거성춤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만세받이장단이 신령의 위상과 관련이 있어 격이 높은 신령의 경우에는 긴만세받이장단을, 격이 낮은 신령의 경우에는 자진만세받이장단을 사용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신령의 예술성과 유흥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춤 반주 장단인 삼현장단과 노래 반주 장단인 타령장단의 기능도 함께 살폈다. 현재 황해도굿은 서울, 인천, 경기 등지에서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어, 북쪽에서 내려온 굿으로 볼 것이 아니라, 남쪽에 자리잡은 굿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그래서 서울굿, 인천굿, 경기굿의 하나로 황해도굿의 위상과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황해도굿 장단의 종류
Ⅲ. 황해도굿 연행과 굿 장단의 연계
Ⅳ. 맺음말-황해도굿 장단의 무속적 의미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태한 Hong, Tea-han.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