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斗峯 李志完의 詩世界 考察 -『黃驪世稿』 소재 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utdy on the Poetry of Dubong, Lee Ji-Wan -Focused on poems in 『Hwangryeosego』-

두봉 이지완의 시세계 고찰 -『황려세고』 소재 시를 중심으로-

김효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 sentence made to consider the literary world of his poetry, focusing on the poetry of Dubong Lee Ji-Wan(李志完, 1575 -1617), which was included in the poetry of the Yeoju Lee’s family of the 『Hwangryeosego(黃驪世稿)』. Dubong was one of the important people of the Yeoju Lee’s Sungho family who lived for 43 years from the 8th year of King Sunjo to the 9th year of King Gwanghae. Dobong is the grandfather of Seong Ho Lee Yik(李瀷, 1681-1763) and along with his father Lee Sang-Wei, Sung Ho family It is the person who led the heyday. of the poetry poems in the prefecture are cre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pecial office work such as the Sejangkwan(書狀官), Jebbansa(接伴使), Sunweisa(宣慰使) and the creation space is characterized as a place far away from the city, such as China, Pyongandod, Dongrae and Hwanghaedo. In the course of his work, various situations emerge in his encounter with the situation, space, and characters. divided Dubong's poetry world into the “expression of reverence and loyalty”, and “the cross between nostalgia and poetic inspiration.” The first “expression of reverence and loyalty” can be seen through the sympathy with the person related to the public affairs and the sincerity to fulfill the dignity and the task entrusted to the object. The second “the cross between nostalgia and poetic inspiration” show a calm examination during the spent in strange place. The third pursuit of the poetic inspiration shows the way in which poetic inspiration is pursued through the creation of the city by releasing his own examination to the scenery unfolding in a strange spa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oetry of Dubong, he was able to confirm that he was a literary officials who was faithful to his work and a poet with excellent literary ability to chant his own heart.

한국어

이 글은 驪州李氏 가문의 世稿 『黃驪世稿』에 수록된 斗峯 李志完(1575∼1617)의 시를 중심으로 그의 시세계를 고찰하기 위해 이루어진 글이다. 두봉은 선조 8년에서 광해군 9년까지 43년 간 살았던 驪州李氏 星湖家의 중요 인물 중의 한 명으로 星湖 李瀷(1681∼1763)의 큰할아버지이며, 부친 李尙毅와 더불어 성호가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인물이다. 현전하는 두봉의 시는 대부분 서장관・접반사・선위사・어사와 같은 특별한 공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창작되었고, 그 창작 공간은 중국・평안도・동래・황해도와 같이 도성에서 멀리 떨어진 외지라는 특징을 보인다.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마주친 상황과 공간, 그리고 여러 인물들과의 만남 속에서 촉발되는 다양한 감정들이 그의 시세계에 나타난다. 두봉의 시세계를 ‘恭敬과 忠心의 표출’, ‘客愁와 詩興의 교차’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공경과 충심의 표출’에서는 공무와 관련된 인물과의 교유를 통해 대상에 대한 공경과 사신으로서의 사명을 다하고자 하는 충심을 엿볼 수 있다. 두 번째 ‘객수와 시흥의 교차’에서는 업무 수행을 위해 타지에서 지내며 느끼는 객수와 낯선 공간에서 펼쳐지는 경관에 자신의 심사를 풀어놓는 시흥의 幽趣를 볼 수 있다. 두봉의 시를 살핀 결과 두봉은 시문에 능통한 관료문인이자 자신의 심정을 진솔하게 읊는 뛰어난 문학적 역량을 지닌 시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두봉의 생애
Ⅲ. 『黃驪世稿』와 두봉 시 개관
Ⅳ. 두봉의 시세계 양상
1. 恭敬과 忠心의 표출
2. 客愁와 詩興의 교차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효정 Kim, Hyo-joung.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