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왕운기(帝王韻紀)』에 인용된 설화의 성격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subject in narrative story of 󰡔Jewang Ungi󰡕 written by Seung-hyu Lee

이창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 history book written by Seung-hyu Lee in the thirteenth century, 『Jewang Ungi』 was narrated as a means to emphasize the king’s virtues such as study and character by describing the achievements, circumstances, loyalties, traitors, and others in the ancient dynasties of China and Korea. Seung-hyu Lee constructed it in a way that it corresponds to the introspective storytelling for the reflection and the resonance of an epic poetry. In 『Jewang Ungi』, the author adapted to the recitation by ascertaining the evidence based on what he had heard or seen and making the Goryeo’s legitimacy as a support, and followed the pattern of the 『Chunchu(Spring and Autumn)』 for the chosen things that people would need to learn from and the evil things that people would need to stay away from. These disputes that the history has been described mainly by the monarch leaders. Seung-hyu Lee’s 『Jewang Ungi』 can be inferred that it was compiled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er such as the historical view that emphasizes the empiricism of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plausible value of the literary that emphasizes the imagination. Rather than unconditionally accepting the stories that are orally transmitted rumors in the public, the author sorted and selected so as to be compatible with the Confucian classics that are must reads for Yuza and the elements(鑑誡; mirror that of the past to not repeat the same mistake) that are necessary to policy the history. The 10-episodes of the narrative stories in 『Jewang Ungi』 are mostly concentrated in the last volume rather than in the first volume, and emphasized that the sacredness of 「Dangun Mythology」, which is the Origin Mythology of Korea, is still continuing in the Goryeo Period, except for China’s Genesis Mythology and Kija(Jizi) migration theory. By incorporating 「Dangun Mythology」in the system of Korean history, he emphasized the immemorial value of Goryeo history. This idea is identified by confirming Balhae as the successor state of Goguryeo. This is also confirmed by the description of Buru of Buyeo, Jumong of Goguryeo, Seonggol general Hoyeong and his wife, Jak Je-geon and his wife, and etc. Because the decline of the dynasty is related to the virtue of the monarch and the response of the people, he emphasized the virtue of the monarch, and the examples of this include the stories of King Uija of Baekje, Gung Ye who is the prince of Shilla and the progenitor of late-Goguryeo, Gyeon Hwon of late-Baekje. The notion of birds, tigers, eggs, trees, water, dragons, mountains and others in the 『Jewang Ungi』represents the meaning of a mental symbols of a public faith and a sympathetic meanings such as intermediates of the sky and the earth, suggestions of the future, signs, and etc. These have a close connection with the god of sky, the god of mountain and the god of 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se serve as the proof for unified history and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This unique thought an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Dangun Origins were passed down to the new nobleman at the late-Goryeo. This allowed Dangun Origins to be established as the Origin Mythology after building Joseon, and to be announced as the Origin Mythology in the 『Dong-guk-tong-gam(東國通鑑)』 and any other historical books. Because 『Jewang Ungi』 has a strong character as a history book, it is an epic story storytelling with a sense of narrative story compiled in an introspective point of views on stories related with Northern Korean mythology in the 13th century when the national spirit was collapsed due to the intervention in the domestic affairs, the name of the place, and the rocks and trees.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author included annotations in the main parts in the previous monarch description, Jewang Ungi』is regarded as an emphasis on the genealogy and public record of the royal family by systematizing the references that was documented or being verbally transmitted the documents. The reason for emphasizing this independent narrative story was that the Korean people emphasized that Korea is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nation that is distinct from China, and was a strategy for insinuatively expressing will against Mongolia’s political domination.

한국어

『제왕운기』는 13세기에 이승휴의 사찬서서(私撰史書)로 중국과 우리나라 고대 왕조의 치적과 실정(失政)과 충신과 반역자 등을 기술하여 군왕의 수덕(修德) 곧 공부와 품성을 강조하기 위한 방편으로 서술되었다. 이승휴는 서사시의 탄력과 울림을 위해 성찰적 스토리텔링에 부합하도록 구성하였다. 『제왕운기』는 지은이가 익히 견문(見聞)한 것을 근거 곧 직접 고증하고 고려 정통성 부합의 필치로 삼아 읊조림에 맞게 하였고, 그 선택하여 본받을 만한 것과 악하여 경계로 삼을 만한 것은 모두 일마다 『춘추(春秋)』의 필법에 따랐던 것은 군주 지도자를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하였음을 반증한 것이다. 이승휴의 『제왕운기』는 사료(史料)의 실증 위주의 고증을 중시하는 역사관과 상상력을 중시하는 문학의 개연적 가치 곧 수용자의 효용성에 맞는 것을 가려서 편찬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구전심수(口傳心受)의 민간에 떠도는 이야기를 무조건 수용하기보다는 유자(儒子)의 필독서인 경서(經書)와 역사를 연마하는데 필요한 요소[감계(鑑誡)]와 부합되도록 선별하여 취택하였다. 『제왕운기』 10편의 설화 기사는 대체로 상권보다는 하권에 집약되어 있고, 중국의 창세(創世)신화, 기자동래설(箕子東來說)을 제외하고는 한국 국조신화(國祖神話)인 「단군신화」의 신성성이 고려시대에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단군신화」를 한국사 체계 속에 당당히 포함시킴으로써 고려 역사의 유구성을 강조하였다. 이 발상은 발해(渤海)를 고구려의 계승국으로 확인한 것에서 확인된다. 부여의 부루(夫婁), 고구려의 주몽, 성골장군(聖骨將軍)인 호경(虎景)과 그의 부인, 작제건과 그의 부인 등의 서술도 그것이다. 왕조의 쇠망은 군주의 실덕(失德)과 민의 호응과 관련되기 때문에 군주의 수덕(修德)을 강조했는데, 이는 백제의 의자왕, 신라의 왕자이자 후고구려의 시조인 궁예, 후백제의 견훤 등의 이야기가 여기에 해당된다. 『제왕운기』에 수록된 설화에 나타난 새, 범, 알, 나무, 물, 용, 산 등의 관념은 공공신앙의 정신적 표징이며, 천지(天地)를 매개물, 앞일에 대한 암시, 전조(前兆) 등의 교감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이들은 천신(天神), 산신, 수신(水神)과 밀접한 연계를 가지는 동시에 한국 민족의 통합된 역사와 문화의 산실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유 사유와 단군기원의 역사의식은 고려말 신진 사대부에게 전승되어 조선 개국 후 단군을 국조로 정착시키고, 『동국통감(東國通鑑)』을 비롯한 사서에서도 제천의식과 단군이 국조임을 밝히게 된 것이다. 『제왕운기』는 사찬사서(私撰史書)의 성격이 짙어 13세기 당대의 조야(朝野)가 원(元)의 내정간섭으로 민족의식이 위축된 시기에 한국 민족의 북방계 신화, 장소 지명, 수목암석에 얽힌 이야기를 자주적(自主的)인 시각에서 엮어낸 설화집(說話集)의 성격을 가진 스토리텔링 서사시였다. 또한 『제왕운기』는 역대 군주의 이야기를 서술하면서 주요 부분에 협주(夾註)를 가한 것은 지은이가 이전 혹은 당대에 구전되거나 전해지는 문헌을 체계화하여 왕실의 계보와 공적 기록을 중시한 뜻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독자적 설화를 강조하는 이유는, 한국 민족이 중국과 확연히 구별되는 자주적이고 독자적인 국가임을 강조하였으며, 몽골의 정치적 지배에 대항하는 의지를 빗대어 표출시키기 위한 전략이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제왕운기』에 인용된 설화의 기술과 성격
Ⅲ. 『제왕운기』의 설화적 성격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창식 Lee, Chang-sik. 세명대학교 미디어문화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