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Components and Evaluation Model of Policy Brand Equit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mponents of policy brand equity based on the public perception an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policy brand equity model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linkage among components. This study derive the dimension and sequential theoretical frame of the policy brand equity components through the corporate brand equity model and derive the sub-components for the policy brand equity valuation by perform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variables used in the existing policy evaluation. The components of the policy brand equity model are largely divided into cognitive equity(policy brand communicaiotn/awareness), functional equity(perceived features, perceived benefits), emotional equity(policy brand image), and behavioral equity(policy brand loyalty). In order to verify the causal model between constructive dimension of policy brand assets and constructive dimension of policy brand assets, survey was conducted on 624 people from 20s to 50s for six central government policies and Seoul city policies. As a resul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mponents of policy brand equity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brand asset equity components, the policy brand equity was formed as a step of policy brand communication/awareness - perceived features - perceived benefits - policy brand image - policy brand loyal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academic basis for the policy brand and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long=term policy brand manag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국민의 인식에 기초한 정책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고구성요소 간 구조적 연관성을 조사하여 자산 평가 모델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업/제품 브랜드 자산 평가 모형을 통해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차원과 순차적 이론적 프레임을 도출하였으며, 기존의 정책 평가에 활용된 변인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실시하여 정책브랜드 자산 평가를 위한 하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정책브랜드 자산모형의 구성요소를 크게 인지적 자산(정책브랜드 소통인지 자산), 기능적 자산(지각된 속성, 지각된 혜택), 감성적 자산(정책브랜드 이미지), 행동적 자산(정책브랜드 충성도)로 구분하였다. 정책브랜드 자산의 구성차원과 측정문항의 확증과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차원들 간의 인과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중앙정부의 정책과서울시 정책을 각각 3개씩 선정하여 총 6개의 정책브랜드에 대하여 일반 국민20~50대 6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정책브랜드구성차원에 따른 하위 구성 차원을 확정하고, 각 구성 차원에 따른 신뢰도와타당도를 확보한 측정문항을 도출하였다. 이후,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경로분석 결과, 정책브랜드 자산은 소통인지 – 지각된 속성 – 지각된 혜택 – 정책브랜드 이미지 – 정책브랜드 충성도의단계로 형성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정책브랜드에 대한 학술적 단초를마련하였으며 중장기적 관리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효율적 관리를 위한 자산 측정 및 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1) 브랜드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정책
2) 정책브랜드 자산의 개념과 구성 요소
3)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탐색
4) 정책브랜드 자산의 형성과정
3.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4.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및 자료수집
2) 조사대상 정책과 설문 문항 구성
5. 연구 결과
1)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탐색적 분석
2)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확인적 분석
3)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 간 구조적 관계 검증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