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중국해 분쟁의 평화적 해결방안 모색

원문정보

In search of a peaceful solution for the South China Sea Conflict

박용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ature of international clamor on the South China Sea (here in after, SCS) basically can be seen as a territorial dispute among the states of region involving the islands or determination of maritime boundaries. More precisely, it is the dispute of sea boundary concerned with EEZ or continental shelf underlying the question of legitimate jurisdiction of islands as well as territorial claim for the jurisdiction of sovereign powers. Over the past years of new millennium, the dispute growingly had escalated into a new facet of strategic confrontation between two superpowers, say, United States and China, surrounding the principle of free navigation on the sea. Fortunately,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recently was attempted for peaceful settlement of dispute. On January 22, 2013, Philippines filed a claim against China with the arbitral tribunal constituted in accordance with the Annex VII of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hereinafter, Convention). The tribunal delivered a final decision on July, 12. Nevertheless, the discontent or stir continues to persist regarding a compliance with the decision of arbitration because China denied a procedure and officially avowed not to respect the final decision. Within the grand scale of perspective, two main themes arise to characterize the dispute of SCS. For the first place, the countries of ASEAN as well as China or SCS nations under territorial dissention increasingly became aware of critical importance on sea collaboration, peaceful solution of current and potential controversy as well as common prosperity of region. On the other aspect, a deep engagement of United States had been manifested on the cause of right to free navigation that complicate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region. The principle of non-intervention elicits that the dispute shall be settled exclusively by the parties in dispute because the territorial disagreement only involves with the countries of reg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paper argues to separate the issues for two independent counts of controversy, so to speak, claims of territorial dispute and determination of maritime boundary in the SCS. Another option for regional peace was suggested in the paper that the countries of region shall collaborate for the planned and common exploitation of sea under dispute. Finally, the arbitral or judicial decision of specific dispute must be respected according to th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set forth by the Convention. Of course, a sudden eruption may not be improbable that could disrupt an expectation or predicted course of collaboration. Such picture of divergence or confrontation can well be more than extreme and uncontrollable. In order to prevent effectively against the tragic possibilities, any peace keeping strategy with the alliance of countries outside region could be an effective and conceivable alternative. The increasing role of ASEAN, APEC, ARF is necessary provided that the United States is a member state of those organizations. Given the intense contest of SCS, a multifaceted approach to strengthen the diplomatic network needs to be considered as one of top priorities. The paper also argues that some hypothetical international organization would be indispensable, i.e., the kind of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CS as modeled after the Arctic Council. The organization will be idealistic to maintain the international order of region because it will be devoted to the peaceful governance of contended sea zone. However, my suggestion for an organization would be predicated on the agreement of countries in the region. Finally, but not in the least, the paper suggests that the membership status of United states with the Convention is pivotal because the legal ground raised by the United States keenly relates to the kind of rights vested with the Convention. For instance, we see that the United States has insisted on the freedom of navigation including military vessels, freedoms of the air, prohibition of no-fly zone and so. Therefore, its membership status immediately facilitates the power of persuasion and legitimacy of claim in the region although the rights largely root on the international customary law as argued by the United States. That also would be imposing because China, a main antagonist, is one of member state and direct counterpart of negotiation.

한국어

남중국해 분쟁은 기본적으로 역내 국가 간의 도서 등 해양지형에 대한 영유권 분쟁이고, 도서의 영유권을 권원으로 하는 EEZ나 대륙붕에 대한 주 권적 권리 및 관할권에 관한 분쟁이다. 이러한 남중국해 분쟁이 금세기 초 부터는 미국과 중국 간의 ‘항행의 자유’를 둘러싼 전략적 이익의 충돌로 비 화되어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다행히도 최근에 남중국해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사법적 시 도가 있었다. 지난 2013년 1월 22일 필리핀이 중국을 상대로 하여 남중국해 문제를 UN해양법협약 제7부속서에 따라 설치되는 중재재판소에 제소를 하였고, 마침내 2016년 7월 12일 중재판정에 까지 이르게 된 사실이 바로 그 것이다. 물론 중국이 이번 중재재판 참여를 거부하고, 판정 결과의 이행도 거부하겠다고 선언하였기 때문에 필리핀의 승소로 끝난 동 중재재판의 실 효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어떻든 남중국해 분쟁 양상은 2개의 큰 흐름으로 전개되고 있다. 첫째로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 당사국은 물론 아세안이 해양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도모하고, 역내 국가의 공동 발전을 하는 추구하려 는 시도가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로 미국이‘항행의 자유 확보’라는 기 치 하에 남중국해의 해양질서 문제에 적극 개입하고 있어 남중국해 분쟁은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남중국해 분쟁은 역내 국가 간의 분쟁이기 때문에 기본적으 로 당사자 간의 관계에서 해결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역내 국가들의 분쟁해결 방안으로서‘해양지형의 영유권 문제와 해양경계획정 문제의 분리 안’을 제시하였고,‘분쟁해역 해양자원의 공동개발 안’를 제시 함과 더불어 분쟁의 사법적 해결을 권고하였다. 물론 역내 당사자들 간의 분쟁해결 과정에서 당사자들의 기대나 예상과 달리 돌발 상황이 전개되고, 그 누구도 통제할 수 없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나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실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서는 역외 국가들과의 협력방안의 모색도 매우 중요하다. 우선 역외 국가 들의 이해가 민감하게 교차하는 남중국해 분쟁 상황에서는 미국도 참여하 는 ASEAN, APEC, ARF 등의 역할 증대 및 다면적 외교채널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북극이사회’를 모델로 한‘남중국해이사회’설립 방안을 제시 하였다. 이 기구는 분쟁수역의 평화적 관리를 지향하는 것이 그 목적이며, 동 기구 설립을 위한 당사자 간 합의가 이루어진다면 남중국해 해역의 평 화적 질서 구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국이 남중 국해에서의 군함을 포함한 선박의 항행의 자유 등 UN해양법협약상의 권 리를 중국에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동 협약의 비당사국이 아니라 당사국으 로서의 지위를 갖는 것이 실효적이라는 취지에서 미국의 UN해양법협약 가입 설득을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남중국해 분쟁의 새로운 양상의 전개
1.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남중국해 분쟁 관련 당사국들의 전술변화
2. 미‧중 간 남중국해 제해권(制海權) 갈등의 심화
Ⅲ. 남중국해 분쟁의 사법적 해결의 시도
1. UN해양법협약상의 분쟁해결체제
2. 필리핀의 UN해양법협약 제7부속서에 따른 중재재판제소
3. 필리핀의 청구취지와 중재판정 결과
Ⅳ. 남중국해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역내 국가들의 방안
1. 해양지형에 대한 영유권 문제와 해양경계획정 문제의 분리
2. 분쟁해역 해양자원의 공동개발
3. 분쟁의 사법적 해결 추구
Ⅴ. 남중국해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역외 국가들과의 협력적 방안
1. 지역적 국제기구의 역할 제고 및 다면적 외교채널의 활성화
2. 분쟁수역의 평화적 관리를 위한 ‘남중국해 이사회’설립
3. 대 중국 해양법 준수 논리 강화를 위한 미국의 UN해양법협약 가입 설득
Ⅵ.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용현 Park Yong-hyun. 조선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