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큐멘터리 전통재현에 나타난 치유의 서사 - KBS 다큐멘터리 <다르마>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Representation of Tradition for Healing in Documentary - Focussing on The Documentary <Dharma>

신부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veryday life refers to a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ings that are meaningful but pass awa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dition represented in TV documentaries through conscience eyes on everyday life as a legitimate standpoint. As seen in the KBS documentary Dharma, the Tripitaka Koreana is reproduced, revived and reevaluated by modern people as an experience of ‘daily healing’. The production body discusses the tradition of Tripitaka Koreana as an act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as opposed to the past. From this standpoint, tradition is no longer a past practice but a present practice applicable to reality. The narrative of the documentary is constructed through a ‘montage of daily space and repeated image’, breathing new life into the viewpoints of everyday life. In addition, the cross-editing technique used in the documentary helps to establish a pluralistic perception on values such as beliefs, religion and science, visualizing relativistic viewpoints. In terms of content, the documentary suggests ‘everyday life’ as a viewpoint that helps to reproduce tradition by extracting the concept of the ‘healing of the mind’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Tripitaka Koreana as a tradition. Hence, the empirical elements of everyday life, not included thus far in the dominant discourse of tradition, now have important value. By examining this value, the ‘voice’ of the production body, attempting to build stories around the complete perception on tradition, can be found.

한국어

일상의 강조는 유의미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소외되었던 것들을 아우르고자 하나의 관점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일상’의 문제의식을 통해 다큐멘터리의 전통재현을 세밀하게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다큐멘터리 <다르마>를 통해 그 구체적인 양상과 의미를 살펴본 결과 대장경이라는 전통은 현재 ‘마음의 치유’라는 일상적 경험으로 현대인들에게 재생되고, 부활되고, 재평가되었다. 제작주체는 대장경이라는 전통을 과거 의 문제가 아닌 ‘현재’의 행위와 실행으로서 논의하고 있다. 그 안에서 전통은 더 이상 과거가 아니라 지 금의 상황이며 현실에 적용되는 존재가 된다. 내러티브 구축을 위한 재현양식을 보면 ‘일상의 공간과 반 복이미지의 몽타주’를 통해서 그러한 관점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있으며, 교차편집 기법을 통해 신념과 종교, 과학 등 가치에 대한 다원적 인식을 추구함으로써 진리의 상대주의적 관점을 시각화하였다. 그리 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대장경이라는 전통의 재해석을 통해 ‘치유’라는 구체적 경험을 추출해냄으로써 전 통을 재현하는 하나의 관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지배적인 전통담론에 포함되지 않았던 전통인식 의 다성성을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며 그 의미를 살핌으로써 온전한 전통인식의 토대로 삼고자 하는 제작 주체의 ‘목소리’가 담긴 것이라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다큐멘터리의 중층적 의미생산과 ‘일상’의 문제의식
2.1 다큐멘터리 전통재현의 중층적 탐색과 다성성
2.2 ‘현재’의 행위와 실행으로서의 전통인식
2.3 일상의 문제의식과 전통, 그리고 마음의 치유
3. ‘일상’의 관점을 통한 전통재현의 구체적 양상과 그 의미 - 다큐멘터리 <다르마>의 치유의 서사구조
3.1 내러티브 구축을 위한 현실구성과 재현양식 - 일상공간과 반복 이미지의 몽타주
3.2 ‘지금 여기’로부터의 전통 재해석 - 일상의 치유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부자 Shin, Boo Ja. 전주대학교 영화방송학과 객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