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계에 선 예술가의 영화적 초상 - 스즈키 세이준의 <유메지>(1991) 연구

원문정보

A Cinematic Portrait of an Artist Standing on the Borderline - A Study of Suzuki Seijun's <Yumeji>(1991)

박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rprets Japanese filmmaker Suzuki Seijun's (1991) as an alternative painter-film that challenges dominant themes of the painter-films produced by major film companies of Europe and North America. It observes that the commercial painter-films utilize and consolidate three common notions concerning art and the artist: first, the artist is an uncommon genius chosen to deliver transcendental messages; second, artists worthy of notice are mostly male Caucasian; third, artists' efforts are materialized in their artworks, whose successive appearance constitutes the history of art canons. Thus, painter-films serve to perpetuate the established art history and its underlying ideologies. claims our attention primarily because its titular hero Yumeji fails to discover his own painting style to the end of the story. Based on the life of Japanese painter Takehisa Yumeji(1884-1934) who actually produced an incredibly large amount of artworks across figurative and literary genres, the film portrays the painter as the one who suffers an abysmal sense of conflict between the prevailing modes of Western painting such as Art Nouveau and the traditional cultural identity of Japan. The protagonist's inner conflict is revealed in his complicated relationship with women, most of whom are models for his paintings. The present study holds that the painter Yumeji and his artistic endeavor in the film represent the identity crisis Japan experienced in the throes of modernization. The film inscribes its avant-garde style narrative with symbols, analogies, and metaphors to convey the main theme. This essay analyzes the meanings of the rhetorical devices to show that renders the artist less as a solipsistic genius than as a social communicator.

한국어

본 연구는 일본 영화감독 스즈키 세이준의 1991년작 <유메지>를 해석하여 해당 작품이 서구에서 만들어 져온 화가영화의 지배적 주제들에 도전하는 대안적 화가영화임을 논증한다. 주류 화가영화는 예술과 예 술가에 대한 세 가지의 관념을 활용하고 공고히 하는 경향이 있다. 첫째, 예술가는 초월적 메시지를 형 상화할 임무를 부여받은 천재이다. 둘째,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예술가들은 대부분 백인남성들이다. 셋째, 예술가들의 노력은 작품으로 구체화되며 그러한 작품들의 연쇄고리가 예술적 정전의 역사이다. 이 처럼 주류 화가영화는 기존의 예술사와 그 지배적 이념을 영속화하는 데 기여하다. 영화 <유메지>는 무 엇보다 주인공 화가가 자기 회화스타일의 정립에 실패함으로써 통상적인 화가영화가 구별된다. 일본에서 실존했던 화가 다케히사 유메지(1884-1934)의 삶에 기초한 <유메지>는 실제 유메지가 조형예술과 문학 장르를 넘나들며 대량의 작품을 생산했던 사실과는 다르게, 극중 주인공이 아르누보와 같은 동시대 서양 미술의 스타일과 일본의 토착적 문화정체성 사이에서 심각한 분열을 겪는 것으로 묘사한다. 주인공의 내 적 갈등은 자신의 그림모델로 삼은 여성들과의 복잡한 관계를 통해 드러난다. 본 연구는 화가 유메지와 그의 예술적 분투가 근대화 초입의 일본사회가 겪었던 정체성의 혼란을 재현한다고 파악한다. <유메지> 는 특유의 아방가르드적 서사구조에 상징과 비유, 은유를 뒤섞어 상기한 주제를 표현한다. 본 논문은 이 와 같은 수사적 장치들의 의미를 분석하여 극중 유메지가 예술가를 유아론적 천재가 아닌 사회적 소통의 매개자로 형상화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주류 화가영화의 관습과 의도
2. 본론
2.1 <유메지>의 아방가르드적 스타일
2.2 얼굴을 가린 여인들
2.3 와키야 또는 이름 없는 자
2.4 창작불능의 기록으로서 유메지의 여인화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선 Park, Sun. 한국뉴욕주립대학교 패션공과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