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크로스 해프닝: 규칙과 환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조직화된 우연 - 1960년대 해프닝과 드론 이벤트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ross-Happening: Organized Coincidence that Takes Place at the Intersection of Rules and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Happening in 1960s and Drones Events

권경아, 윤준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reality of a happening. It is often overlooked that a happening is a type of art which aims to minimize the risks involved in chance and indeterminacy, with attention focused on the aspect of avant-garde art, or of the production of an accidental situation or the induction of immediate acts. However, it is confirmed that a happening in art was intended to organize the opportunities that could arise from unpredictable events that could occur between rules and objects, that is, from encounters with the intrinsic rules of actor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avant-garde artists in the 1960s. In particular, the score explains a happening as a chance and improvisation, strictly speaking, a ‘planned coincidence’ and an ‘intended improvisation’ that can only occur if certain rules are given, while they show the diversity of behaviors stemming from the directing and movement not highlighted at the time of the event. This paper confirms similar intersections and encounters in new media art by comparing cases of the use of drones as an unmanned airplane and presents discursive conclusions pertaining to the ‘organized coincidence that takes place at the intersection of rules and the environment.’

한국어

본 논문은 해프닝의 실재성에 관한 고찰이다. 해프닝이 주로 전위 예술로서, 혹은 우연적 상황이나 즉시적 행위의 유발이라는 측면에 주목되면서, 해프닝이 우연(chance)과 비결정(indeterminacy)에 내포된 위험을 최소화해서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예술이라는 점이 종종 간과된다. 그러나 예술에서 해프닝이 규칙과 대상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사건, 즉 외부 환경과 행위자의 내적 규칙의 조우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우연을 조직화하기 위한 것이었음이 1960년대 전위 예술가들을 통해 확인된다. 특히 이들이 남긴 스코어(score)는 해프닝 당시에는 부각되지 않은 연출과 움직임으로부터 비롯된 행위의 다양성을 보여주면서, 어떤 규칙이 주어져야만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연과 즉흥, 엄밀히 말해, ‘계획된 우연’과 ‘의도된 즉흥’으로서 해프닝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최근 무인 항공기 드론을 이용한 사례 비교를 통해 뉴 미디어 아트에서도 이와 유사한 교차 및 조우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고, 해프닝을 ‘규칙과 환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조직화된 우연’으로서 담론적 결론을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규칙과 환경, 그리고 해프닝
1.1 두 개의 이벤트: 규칙과 환경 사이, 계획과 실행 사이
1.2 연구 목적 및 방법
2. 1960 년대 해프닝: 계획된 우연과 의도된 즉흥, 우연의 조직화를 위한 예술
2.1 라이브 퍼포먼스와 해프닝
2.2 카프로의 해프닝: 내재적 규칙에 의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우연의 집합체
2.3 해프닝에서 움직이는 대상: 우연과 비결정성의 요인
2.4 해프닝에서 스코어(score): 규칙과 우연의 기록
3. 크로스 해프닝: 규칙과 환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조직화된 우연
3.1 예술에서 드론의 활용과 군집 비행 기술
3.2 해프닝의 실패: 규칙과 조직화된 우연 사이에서 비결정성
3.3 이질성의 결합과 해프닝의 확장
3.4 크로스 해프닝: 앗상블라지화된 복합체로서 확장된 사이버네틱스
4. 결론: 해프닝, 규칙을 통해 실재를 발견하기 위한 미학적 여정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경아 Kwon, Kyoungah.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윤준성 Yoon, Joonsung.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