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교육적 함의

원문정보

김윤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이 문화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10-29세의 북한이탈청소년 193명을 분석한 연구이다. 또한 문화통합 형으로 분류된 46명 중 12명을 심층면접하여 적응과정에서의 적응유연성이 출현하게 되는 상황 및 맥락을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 수준은 유형별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주변화형이 가장 많고, 적응 유연성 수준은 주변화형에서 통합형으로 갈수록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 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의 하위변인으로 의지․영적․지지유연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 을 알 수 있었다. 또 문화적응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의지․지지․영적․강 인유연성이 탈북 이전 단계, 제3국 체류 단계, 국내 입국 정착단계에 걸쳐 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지유연성은 북한에서의 고생스러운 생활과 죽음에 가까운 북한이탈 과정을 통해 인과적으로 출현되며, 타국에서의 역 경, 남한생활에 대한 기대 등은 이러한 의지유연성을 강화시키는 상황적 조 건으로 밝혀졌다. 또한 남한에 입국하게 큰 도움을 주는 지지자의 출현은 지 지유연성을 나타내는 인과적 조건이며 이러한 지지자를 통해 영적유연성이 이 시기에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지지 및 영적유연성은 다시 의지 유연성을 강화시키는 매개적 조건으로 작용하였으며 부적 강인유연성은 긍 정적이며 낙관적인 사고를 강화시켜 지지유연성의 매개적 조건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북한이탈청소년의 개념
2. Berry의 문화적응 이론
3. 적응유연성에 관한 개념 및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결과 및 해석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유연성
4.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
5. 적응유연성을 강화시키는 상황 및 맥락적 조건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윤나 한국교육개발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