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Direction of Traffic Safety Promotion by Changing Driver Behavior in a Metropolitan City : The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GMC)

원문정보

대도시 운전자 행태변화에 의한 교통안전증진정책의 방향: 광주광역시를 사례로

Jeong, Bonghyu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the behavioral traffic safety policy in GMC,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and actual conditions of RTA and to suggest important traffic safety policy directions by means of changes in driver behaviors in GMC. This study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basic theory of RTA and driver behavior, condition and problems of RTA in GMC, and behavioral traffic safety policy in GMC. This paper was mainly conducted by a literature review of existing research and an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In GMC, the total number of vehicle registrations has rapidly increased as a result of increases in personal income and socioeconomic activities, increased leisure activities, and motorization. Above 95% of the causes of RTA are related to human factors, and a social climate that does not obey the traffic regulations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GMC. Traffic offenses by drivers or risky driving behavior is a significant cause of RTA. The main problems of RTA are identified as risky driving, unsafe following distance, traffic signal violation, and traffic offence at crossing. The problems are also associated with bad driving behaviors, including not stopping at a pedestrian crossing, using a cell-phone while driving, ignoring a traffic signal, drunken driving, and not using turn signals. The important traffic safety policy directions consist of sustainable publicity programme, driving test and training requirements, and strengthened enforcement. This study serves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driver behavior and the development of behavioral traffic safety policy.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에서 도로교통사고를 감소하기 위한 윤리적 접근방안을 다루고 있다. 논문의 목적은 교통사고의 발생원인과 실태를 분석하고,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운전자윤리의 향상방안을 교육 및 단속의 측면에서 강구하는 것이다. 논문의 중요한 내용들은 서론, 도로교통사고와 윤리의 개요, 도로교통사고의 실태와 문제점, 도로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운전자 윤리의 개선방향, 및 결론으로 구성되고 있다. 논문은 기존연구의 문헌적 고찰, 행정 및 통계자료의 분석과 시사점 도출 등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논문은 도로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운전자의 생활윤리와 도덕책임, 운전자 윤리생활의 실천 및 운전자의 사회적인 운전윤리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한국에서 차량은 시민의 일상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통행수단이며, 이에 따라 차량교통량도 크게 늘어났다. 이에 비해 운전자의 교통법규 준수의식, 교통질서 및 안전운전행태는 약화되어 도로교통 사고는 증가했고,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물적인 피해규모도 실제로 막대하다. 도로교통사고 원인의 99% 이상이 인적 요인이며, 교통법규를 잘 준수하지 않는 운전자의 행태도 사회적인 문제가 되어 있다. 운전자가 행하는 교통법규 위반이나 안전운전 불이행이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이다. 운전자가 안전운전 의무를 지키지 못하면 교통사고를 유발하며, 이것은 운전자의 윤리의식 및 운전행태와 직결되어 있다. 한국사회는 심각한 도로교통사고를 감소하기 위하여 윤리적 입장에서 그 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하는 절실한 실정에 놓여있다. 도로 교통사고의 주된 문제점들은 교통법규에 대한 낮은 의식수준, 교통법규 준수의식의 약화, 교통법규 단속처벌율의 저하, 무분별한 난폭운전의 형태, 교통정체와 사회적 비용의 유발, 상습적․이기적 운전형태의 만연, 사회적인 교통질서확립의 미비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교통사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 및 단속측면에서 측면에서 운전자의 윤리운전을 향상 시키는 다양한 실천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우선 교육측면의 운전자윤리 개선방안들은 운전자의 운전윤리생활 실천, 운전자의 교통문화정착 운동, 운전자의 교통질서활동, 대중교통이용의 홍보, 안전운전 중심의 교육홍보체계의 준비와 안전운전윤리 교재와 실천모델 개발 등으로 제시할 수 있다. 단속측면에서 운전자 윤리는 운전자의 교통법규 준수행동, 사회적 고발정신의 강화, 첨단기술 활용 상시단속체계의 확대 및 불법운전에 대한 시민의식 전환 등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교통안전윤리에 대한 학문적 토대구축, 교통윤리 실천전략 모델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요망되어진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Basic Theory of RTA and Driver Behavior
2.1. Concept and Causes of RTA
2.2. Driver Behavior and RTA
2.3. Literature Review of Traffic Safety and Driver
3. Condition and Problems of RTA in GMC
3.1. Trend of Road Traffic Conditions and Accidents
3.2. Characteristics of RTA in GMC
3.3. Problems of Bad Driver Behaviors in GMC
4. Behavioral Traffic Safety Policy in GMC
4.1. Purpose of Traffic Safety Policy
4.2. Sustainable Publicity Programme
4.3. Driving Test and Training Requirements
4.4. Strengthened Enforcement
5.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Jeong, Bonghyun Professo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