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근린환경 접근성은 공동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가? : 서울시 강남3구와 강북3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Does the Access to Neighborhood Environment Affect Multi-family Housing Prices? : Comparison between Gangnam 3 Districts and Gangbuk 3 Districts in Seoul

김명연, 김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accessibility factors on the multi-family housing prices in the areas with Gangnam 3 districts and Gangbuk 3 districts in Seoul.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complex include building aging, number of households, and reconstruction areas, and there are neighborhood environment accessibility factors such as amenity accessibility, educational facilities accessibility,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comfortable environment accessibility and harmful facilities accessibility. Using the spati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multi-family housing prices in Gangnam 3 districts had correlations with reconstruction areas(+), movie theater(+), medical facilities(+), and distance to factory(+). On the other hand, the multi-family housing price in Gangbuk 3 districts had correlations with building aging(-), number of households(+), number of medical facilities(+), distance to subway station(-), and distance to factor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research about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f each area by selecting a representative apartment complex in Gangnam 3 districts and Gangbuk 3 districts, the Gangnam 3 districts had good environmental quality in the neighborhood, but the Gangbuk 3 districts were inferior in terms of road, green space, and amenity elements.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ful evidence that how to respond differently depending on local conditions in implementing policies related to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3구와 강북3구를 대상으로 근린환경 접근성요인이 공동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공동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단지내부특성과 근린환경 접근성에 해당되는 편의시설, 교육시설, 대중교통, 쾌적환경, 유해시설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는 재건축 정비사업구역에 해당되는 지역일수록 공동주택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파트단지로부터 서비스권역 내에 영화관이 존재하거나 의료시설 수가 많을수록, 공장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공동주택가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3구(강북·노원·도봉구)는 단지 세대수가 많을수록, 의료시설 수가 많을수록, 공장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공동주택가격은 증가하는 반면, 오래된 건물일수록 그리고 지하철역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공동주택가격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남3구와 강북3구에서 대표적인 단지를 선발하여 지역별 근린환경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강남3구의 단지들은 근린환경 수준이 대체적으로 양호하였으나 강북3구의 단지들은 도로, 녹지, 어메니티 요소 측면에서 다소 열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주거관련정책을 실시하는 과정에 있어서 지역적 여건에 따라 어떻게 차별적으로 대응해야하는지에 대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변수선정
3.2. 변수측정방법
3.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변수의 기초통계량
4.2.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고려한 근린환경 접근성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4.3. 강남3구 및 강북3구의 지역별 근린환경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명연 Kim, Myung Yeon. 계명대학교 도시계획 및 교통공학과 석사과정
  • 김은정 Kim, Eun Jung. 계명대학교 도시계획학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