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울시 가구특성별 주거입지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가구주연령과 자녀유무를 기준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Location Choice in Seoul : Based on Householder Age and Presence of Children

전이봄, 안영수, 윤진성, 이승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Korea, the type of household is being diversified due to the complex social phenomenon, which has resulted in various housing demand. Thus Recently, it is emphasized that household characteristics should be divided more multi-dimensio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location selection by multi-dimensional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housing location are apparent by the multi-dimensional household characteristics. Second, the multidimensional household characteristics are more effective than one-dimensional househol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factors of housing location select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household has not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the policy of demand-oriented housing and the housing policy responding to various household types.

한국어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이 100%에 근접함에 따라 수요맞춤형 주택공급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가구특성별 주거입지선택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수요맞춤형 주택공급정책의 기본여건이 되기 때문에, 주요 연구주제로 대두되고 있다. 관련 연구에서는 대부분 가구주 연령을 기준으로 가구특성을 구분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가구특성을 더욱 입체적으로 구분해야 함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회 복합적 현상(저출산, 혼인율 감소, 초혼연령 증가)으로 가구유형이 다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주택정책은 전통적 가구구성(부모-자녀)에 초점을 두고 있어, 이러한 정책의 실효성이 점점 약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이 논문은 가구주연령과 자녀유무를 모두 고려하여, 더욱 세분화된 가구특성별 주거입지선택 영향요인의 차이를 실증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연령이 동일한 가구에서도 자녀유무에 따라 주거입지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가구주연령만을 고려하여 가구특성을 구분한 분석 결과와, 자녀유무를 함께 고려하여 가구특성을 구분한 분석 결과간의 차이가 컸다. 특히 20대 50대 유자녀가구, 30대 40대 무자녀가구에서 결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가구유형을 세분화하여 주거입지선택 영향요인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복합적 사회현상(한부모자녀가구 증가, 저출산, 만혼현상)에 의해 발생할 다양한 가구유형에 대응 가능한 주택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고려가 부족했던 가구유형(20대 50대 유자녀가구, 30대 40대 무자녀가구)을 종합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는 수요맞춤형주택공급 정책 및 다양한 가구유형에 대응 가능한 주택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2. 연구질문과 연구범위
2. 선행연구 검토
2.1. 가구생애주기 이론 고찰
2.2. 가구특성과 주거
2.3. 소결
3. 실증분석 개요
3.1. 분석개요
3.2. 변수설정과 이용자료
4. 실증분석 결과
4.1. 기초통계
4.2.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이봄 Jeon, Lee bom. 서울시립대학교 박사과정
  • 안영수 An, Young soo. 서울시립대학교 연구교수
  • 윤진성 Yun, Jin sung. 서울시립대학교 박사과정
  • 이승일 Lee, Seung il.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