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academic burnou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of 573 second graders of high school in Daegu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grit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burnout.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academic burnout.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enhance or maintain academical grit in the context of academic burnout. In the subsequent study, it is need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ub-variables,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files, the 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s such as gender and grade for academic grit and academic burnout, and the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erfectionism,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한국어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소재 고등학교 2학년 5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실시되었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 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업적 그릿은 학업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들이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상황에 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긍정심리 자본의 하위변수별 매개효과,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프로파일에 따른 조절효과,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 대한 성별, 학년 등 개인적 배경에 따른 분산분석 및 완벽주의, 효능감, 회복탄력성 등 관련 변수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탐색 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조사도구
3.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4.2 측정모형의 타당성 분석
4.3 연구모형 검증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