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검색어 분석을 통한 선호도 융합 분석 : 구글트렌드를 이용하여

원문정보

Analysis of preference convergence by analyzing search words for oralcare products : Using the Google trend

문경희, 김장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used the Google Trends site to analyze selection information that users expect from prominent Toothbrushes and Toothpastes through related search keywords that users wanted to obtain. From 2006 to 2018(sep), searches for Toothbrushes and Toothpastes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popularity of related searched words. The total number of searches words exposed was each 25, total 325 collect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wo methods, first, by search function. second, by a word network using a Big Data program. The study has shown that toothbrushes there are high expectations for brands, toothpaste there are high expectations in the fun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motiva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it is recommended to use and provide knowledge about the brand of toothbrushes and Toothpastes by the fun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구강관리용품 중 가장 대표적인 칫솔과 치약에서 이용자가 얻고자 하는 관련검색어를 통하여 이용자 가 기대하는 선택정보를 구글 트렌드를 활용, 분석하여 이를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구글 트렌드에서 제공하는 최초 시점인 2006년부터 2018년 현재(9월)까지의 시기에서 영문 Toothbrush와 Toothpaste를 검색한 뒤 인기순으로 정렬하여 노출되는 관련 검색어 각 25개 총325개의 검색어를 연도별로 수집하였 다. 그 후 이용자가 기대하는 검색기능을 파악하는 검색어 세부분석방법과 빅데이터 프로그램 넷마이너를 활용한 단어 네트워크 분석의 두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 세계적으로 Toothbrush에 대하여 브랜드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았으며 Toothpaste에 대하여 치약의 기능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았다. 이를 통해 구강교육의 동기부여를 높이기 위해 칫솔은 브랜드, 치약은 치약의 기능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고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흥미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절차
2.2 검색어 세부 분석 방법
2.3 단어 네트워크 분석
3. 결과
3.1 Toothbrush 검색어 세부분석 결과
3.2 Toothpaste 검색어 세부분석 결과
3.3 검색어 간 세부분석 비교 결과
3.4 단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문경희 Kyung-Hui Moon. 진주보건대학교 치위생과 교수
  • 김장미 Jang-Mi Kim.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구강보건학과 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