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童蒙先習」의 서지적 재검토

원문정보

Bibliographical Reconsideration of Dongmongseonseup

「동몽선습」의 서지적 재검토

옥영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ongmongseonseup has been known as the representative children’s textbook published by private initiative in Chosun Dynasty. Considering the significant value as the independent textbook for the children published by a domestic scholar, however, it seemed to be treated carelessly compared to the other children’s books such as ‘Thousand-Character Classic,’ ‘Classic of Filial Piety,’ and so on. This might be resulted from unrevealed aspects of the book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including the process of its publication, publisher, system, type, transition, distribution, and so on so far. In this article, several points were reviewed to be treated or supplemented newly in view of bibliography upon confirmation of the evidence for the distribution of early Chosun edition in addition to the woodblock-printed book of Dongmongseonseup or author related contents reviewed in the previous bibliographical studie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Dongmongseonseup had been wood-blocked, printed, and distributed at least before February 1547 from the records of the document that was sent to Baek Woon Dong Private School. Second, upon the supplementary review result of the author theory with An Kook Kim referring to the data that were not reviewed in the past, the background that An Kook Kim was described as the author of Dongmongseonseup in the preface and the main contents of Daedong Woonboo Goonok by Moon Hae Kwon might be the error from the process transited from the transcribed copies into the woodblock editions. Third, the edition possessed by Jangseogak was assumed to be produced since nineteenth century from the bibliographical historical investigation for copied edition of Dongmongseonseup in Jangseogak. Fourth, the publication period of Dongmongseonseup in Choonbang edition was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Ganyuk Diary. These studies seem to be the evidences to be able to approach Dongmongseonseup in view of cultural history in the future.

한국어

「동몽선습」은 조선시대에 민간에서 주도하여 편찬한 대표적 아동학습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동의 학습 서 중에 국내 학자에 의해 저술된 독자적 교재라는 큰 가치를 고려하면 「천자문」, 「효경」 등 다른 아동학습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룬 면이 없지 않다. 이는 그동안 이 책의 생성과정, 편찬자, 체제, 유형, 변천 및 유통 등 책의 문화사적 측면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서지적 연구에서 다룬 『동몽선습』의 판본이나 저자관련 내용파악에 더하여 판본정리와 함께 특히 조선전기본의 유통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고 서지적 측면에서 새롭게 다루거나 보완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해 보았다. 그 내용은 백운동서원에 보낸 문서의 기록을 통해서 「동몽선습」이 최소한 1547년 2월 이전에 판각, 인쇄되어 유통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기존에 살펴보지 못했던 자료를 참고하여 김안국 저자설에 대한 보완적 검토결과 권문해의 「대동운부군옥」 인용서목과 본문에서 김안국을 「동몽선습」의 저자로 표시하게 된 배경에는 여러 필사본의 작성과 후에 목판본으로 이어지는 과정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오류가 생성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장서각 소장 필사본 『동몽선습』에 대한 서지적 고증을 통해서 장서각 소장본 이 19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간역일기의 분석을 통해 춘방장판 『동몽선습』의 간행시기 를 확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향후 󰡔동몽선습󰡕의 문화사적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

<초록>

1. 서언
2. 동몽선습의 판본 유형 정리
2.1 구분의 방식
2.2 판본유형
3. 간행시기와 저자표시에 대한 서지적 재검토
3.1 초기 간본의 판각시기와 인쇄시기
3.2 「대동운부군옥」에 쓰인 김안국 저자표시에 대한 재검토
3.3 장서각 필사본에 대한 재검토
3.4 춘방장판 『동몽선습』의 간행시기
4. 결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옥영정 Ok, Young 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