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통모형

농어촌버스와 콜버스 선호에 따른 콜버스 만족도 분석

원문정보

Call-a-bus Satisfaction Based On Preference Between Rural Bus And Call-a-bus

장태연, 한상화, 김창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examines preference between rural bus and call-a-bus before call-a-bus operation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ing factors on the call-a-bus satisfaction after operation. As the result of log-linear model, older persons prefer call-a-bus because of door-to-door service convenience and female also because of limitation of trip moving means. It is shown that persons with lower number of trips prefer call-a-bus. As the result of ordinal regression model for call-a-bus satisfaction, ag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bus stop distance have the positive tendency but the going out frequency and the return time negative among rural bus preference persons. Male and the going out frequence show the negative tendency but trip moving means, bus stop distance, rural bus satisfaction, depart and return time positive among call-a-bus preference persons. The persons who have the positive preference on call-a-bus shows higher satisfaction on call-a-bus.

한국어

이용객 감소, 고령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어촌버스의 대체수단으로 시범운영에 있는 수요응답형교통 콜버스에 대해 연구한다. 운영전 농어촌버스 대비 콜버스의 선호분석을 위해 로그선형모형을 구축하고 운영중의 콜버스 만족도를 조사하여 영향을 주는 요인을 순위 회귀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문전서비스의 편리함으로 고령층과 이동수단에서 제약이 큰 것으로 예상되는 여성이 콜버스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동수단이 없거나 외 출빈도가 낮은 경우에도 콜버스를 선호한다. 종속변수인 콜버스 만족도의 경중에 따른 순위분 석에서 농어촌버스 선호자의 경우 연령, 가족수, 정류장거리, 외출횟수, 귀가시간에서 통계적 중요성을 보였고. 콜버스 선호자의 경우 성별, 이동수단, 정류장까지 거리, 버스만족도, 외출빈 도, 출발시간, 귀가시간에서 통계적 중요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운행전 콜버스에 긍정적 생 각을 가진 대상자들이 콜버스 운행후에도 여전히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Ⅱ. 자료
1. 콜버스 운행현황 및 자료
2. 모형변수
Ⅲ. 콜버스 도입 전 선호분석
1. 기본이론
2. 모형구축 결과
Ⅳ. 콜버스 만족도 분석
1. 기본이론
2. 모형구축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장태연 Chang Soo Kim. 전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 한상화 Sang Hwa Han. 전북대학교 건축도시공학과 박사과정
  • 김창수 Chang Soo Kim. 전북대학교 건축도시공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