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행동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Results of Early Youth’s Self-Esteem and Depression is Life Satisfaction : Aggression Behavior Media Effect

서인선, 조옥선, 엄순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young people at an early age and the impact of media on behavioral aggressiveness during this process. To this end, a group of primary schools located in Jiangnan and Jiangbei in the Seoul area and the Nanjing Road in the city were selected and 290 early youths from grades 4-6 of elementary school were chosen as specimens of structural equ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ly, the personal causes of early youth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 impact on liquidity aggressiveness. Secondly, depression has a nega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while action aggressiveness has no effect. Thirdly, the mobility aggression of early youth has a nega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 and there is a partial media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re is no media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project of improving youth early life satisfaction and reducing mobile aggression was propo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행동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강남과 강북 및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일부를 선택했으며, 그 중에 초등학교 4-6학년 재학생 중인 초기 청소년 29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구조방정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기 청소년의 개인요인인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공격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공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 청소년의 행동적 공격성에는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사이 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행동적 공격성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모형
3.2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3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량
3.4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5 연구모형의 검증결과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서인선 In-Sun Suh. 온새미로상담센터 상담실장
  • 조옥선 Ouk-Sun Cho.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행정학과 겸임교수
  • 엄순옥 Soon-Ok Um.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