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시대 프랑스의 미디어 교육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원문정보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edia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in France

이희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domestic media education policy which is still in a state of pace by document research of the case in France which has a long history of media education. France has consistently maintained the tradition of the philosophical value of media education, such as ‘the cultivation of consciousness and qualities as a democratic citizen’ through legal, policy and educational improvement. At the same time, in the digital era, conceptual expansion was carried out that embraced the concept of 'information' rather than resting on classical media education. This was complemented by education legislation, enforcing information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and the manage of CLEMI, the media and information education training organiz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construct software system for media education of Korea through the manage of 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the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institutes under the constant philosophic dire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의 오랜 역사를 가진 프랑스 공교육 현장의 미디어 교육을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함으 로써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는 국내의 미디어 교육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공교육의 미디어 교 육을 뒷받침하고 있는 정부기관인 CLEMI의 역할을 중심으로 하여 프랑스 미디어 교육의 기본 철학과 디지털 시대에 따른 진화를 살펴보았다. 프랑스는 법제적, 정책적, 교육적 차원의 정비를 통해 ‘민주 시민으로서의 의식과 자질 함양’ 이라는 미디어 교육의 철학적 가치의 전통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디지털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 하기 위해 고전적인 미디어 교육에 안주하지 않고 ‘정보’라는 개념을 포괄하는 미디어와 정보 교육으로 개념적 확장을 이뤄냈다. 이는 구체적으로 교육법제의 보완, 공교육 현장에서의 정보화 교육 프로그램 의무화 시행, CLEMI라는 미디 어와 정보 교육 전담기구 운영 등을 통해 구현되었다. 향후 국내의 미디어 교육도 흔들리지 않는 방향성 하에서 정부 주도의 전담기구 운영과 유관기관들과의 협력체계를 통해 미디어 교육의 소프트웨어를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프랑스의 미디어 교육 정책의 철학
3.2 디지털 시대 프랑스 미디어 교육의 진화
4.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저자정보

  • 이희승 Hee-Seung Lee. 동명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