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과학소설의 서사적 추진력 : 『완전사회』의 대안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Narrative Drive of Science Fiction : the Case of the Alternative Imagination of the Perfect Society

손나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ture world of The Perfect Society (1967), science fiction written by Yunsung Moon that was a very rare science fiction publication in the 1960s. In The Perfect society, the main character Woo Sungoo, who was chosen to survive in a sleeping capsule as a representative of 20th-century human beings, wakes in the 22nd century where only women remain. He experiences this female utopia and finds that this world still contains as much abnormal antipathy to the others and absolute autocracy as the 20th-century world he remembers even though the future people succeed in overcoming the past problems like famine and pollution. The author warns that science alone without humanistic insight in a unity-oriented society cannot settle the human’s fate; rather, it only changes the aspects of human conflict.

한국어

본 논문은 문윤성의 『완전사회』에서 볼 수 있는 과학소설 서사의 특성을 유토피아 문학에서 볼 수 있는 대안세계의 모습과 다르코 수빈이 정의한 과학소설의 인식적 낯섦이라는 측면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과학소설은 미래에 대한 문학이 지만 또한 현실세계를 볼 수 있는 창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작가 문윤성이 『완전사회』라는 과학소설을 통해 본인의 사회적 인식과 과학적 상상력을 어떻게 융합, 구현하는가를 살펴보았다. 한국 최초의 장편 과학소설로 평가되고 있는 문윤성의『완전 사회』는 20세기 후반 종말에 몰린 인류가 완전인간 우선구를 수면 장치를 통해 161년 후 여성만으로 구성된 진성사회에 깨어나게 한 것으로 시작된다. 본 소설은 여성만으로 이뤄진 대안세계를 그리고 있으며, 1960년대의 시대적 고민이라는 인 식적 측면에서, 상상의 산물인 낯선 미래사회의 모습을 결합하였다는 점에서 과학소설의 인식적 낯섦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양성으로 이뤄진 사회가 종말로 치닫게 되는 과정과 중앙 세계정부에 의해 운영되는 통제사회인 진성사회의 모습 을 통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 과학이 윤리적이고 인문적인 고려를 동반하지 않을 때 만들어 낼 수 있는 파국에 대해, 그리고 다름의 공존을 거부하고 일체성을 강조하는 폐쇄사회가 가질 수 있는 취약성에 대해 말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과학소설, 유토피아 문학으로서의 『완전사회』
2.1 『완전사회』의 내용
2.2 유토피아와 과학소설
2.3 『완전사회』의 대안적 상상력과 과학적 개연성
3. 『완전사회』의 인식적 낯섦
3.1 과학과 인류종말의 역사
3.2 불완전한 완전사회: 모순과 대립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손나경 Na-Gyung Sohn. 계명대학교 타불라 라사 칼리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