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셀프리더십, 학습몰입,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daptation, Self-Leadership, Learning Commitment, and Career Adaptation

배양자, 박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University adaptation on career adaptation through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mmitment, and identified the regulatory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grade, grade level, and willingness to work).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ata for 289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commitment and self-leadership. Howeve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has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and self-leadership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career adaptation. Seco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a regulatory effect on the path through which University adaptation affects career adaptation through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mmitment. The factors that were regulated were age, grade, and willingness to work. Therefore, in order to adapt to university life and adapt to career, we developed a program to improve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mmitment, and suggested that customized guidance is neede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 in university life and career counseling.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구학적 특성(성별, 학년, 학점수준, 취업의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적응은 학습몰입과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생활적응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학습몰입과 셀프리더십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이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 구통계학적 특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요인으로는 연령, 학년, 취업의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 들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적응을 위해서는 셀프리더십 및 학습몰입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생활 및 진 로 상담 시 성별이나 학력 등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맞춤형 지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모형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
3.2 확인적 요인분석
3.3 연구모형 적합도
3.4 매개효과
3.5 조절효과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배양자 Bae-Yang Ja. 동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박순희 Sun-Hee Park. 동신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