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by the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원문정보

미용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 및 능력평가

Seung-eun Choi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eauty teachers’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n the basis of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6 students majoring in beauty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eoul.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t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4. Results: On the basis of makeup and clothing, preference of beauty teachers was categorized as Type 4 (Heavy Make-up and Modern Clothing), Type 2 (Heavy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 3 (No Makeup and Modern Clothing), and Type 1 (No Make-up and Casual Clothing). During the capability assessment, personality factors were placed as Type 4, Type 1, Type 2, and Type 3, and specialty factors were arranged as Type 4, Type 3, Type 2, Type 1. Preference of beauty teachers based on make-up and clothing of men and women differed between Types 1 and 2.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ypes 3 and 4. In the case of capability assessment, female students valued the ability of Types 2 and 4, but male students valued the ability of Types 1 and 3. Preference of beauty teachers belonging to different types of beauty schools on the basis of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differed from Type 2 to Type 4. Conclusion: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not only on the basis of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but also gender and their school type.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지역 미용고등학 교,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메이크업 전공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ver.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요인분석, 분산분석, t-test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 4 (진한 화장과 모 던 의복), 유형2 (진한 화장과 캐주얼 의복), 유형3 (화장은 하지 않은 상태와 모던 의복), 유형1 (화장을 하지 않은 상태와 캐주얼 의 복)의 순으로 나타났다. 능력평가 중 성품 요인의 경우 유형4, 유형1, 유형2, 유형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요인의 경우 유형 4, 유형3, 유형2, 유형1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 지도 요인의 경우 유형1, 유형2, 유형3, 유형4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 성 별에 따른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1와 유형2는 차이가 있으나 유형3과 유형4는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능력평가의 경우 여학생은 유형2와 유형4의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고, 남학생은 유형1과 유형3의 능력을 더 높이 평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별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2와 유형4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성별과 학교 유형에 따라서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대한 호감도와 능력평가에 차이가 있었다.

중국어

目的: 根据化妆和服装的类型探讨美容教师的偏好和能力评估。方法: 对首尔美容中学,大专院校的216名学生 进行调查。使用 SPSS ver. 24.0进行因子分析,方差分析和t检验。结果: 化妆和服装类型的美容教师的偏好按 照类型4(重型化妆和现代服装),类型2(重型化妆和休闲服装),类型3 (无化妆和现代服装),类型1(无 化妆和休闲服装)的顺序显示。在能力评估期间,个性因素按照类型4,类型1,类型2和类型3的顺序显示,特 殊因素按类型4,类型3,类型3,类型2,类型1的顺序显示。根据男女化妆和服装类型,美容教师的偏好在类 型1和类型2之间有所差异,但类型3和类型4之间没有区别。在能力评估的情况下,女生重视类型2和类型4的能 力,但男性学生重视类型1和类型3的能力。根据从学校类型看美容教师的化妆和服装类型的偏好在类型2型类型 4有所差异。结论: 根据美教师的化妆和服装类型,在偏好度和能力评价方面存在差异。此外,根据性别和学校 类型,化妆和服装类型的偏好度和能力评估存在差异。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ethods
1. 연구문제
2. 자극물 선정
2. 연구대상 및 자료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1. 연구대상자 특성
2. 능력평가 요인 분석
3.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별 호감도 및 능력평가
4. 인구통계학 특성별 미용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 및 능력평가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中文摘要

저자정보

  • Seung-eun Choi 최승은. Department of Beauty art, Ansan University, Ansan-si, Gyeonggi-do,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