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등산용 아웃도어 웨어의 착용 목적과 활동 영역에 따른 기능적 디자인 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unctional Design Characteristic based on the Wearing Purpose and Activity Area of Outdoor Climbing Wear

이경수, 김영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design and to firmly grasp the involvement of the design factors in the product, and to approach systematically in designing the co-relationships of cloth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wear. Outdoor activities are based on the wearing of clothes and equipments, and it is mandatory to systematically design the co-relation between clothes and supplies by structurally approaching them. Design factors for analysis of a mountain climbing outdoor jacket were selected as five factors: activity area, customizable fit, sleeve length and hood, pockets, backpack capacity and belt. Based on the sales and growth rate, we selected the top five domestic outdoor wear brands and extracted 772 men’s waterproof jackets and windproof jackets from the 2017 SS to the 2018 SS as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ctivity area of each brand, the frequency of extreme purpose showed a decreased popularity compared to increased volume in trekking and traveling areas, which is an unexpected result considering extreme purpose being the main purpose for outdoor wears. Second, in the extreme activity area where high functionality is required, customizable fit, sleeve length or hood, pocket, capacity of backpacks, and belt were not properly expressed. Third, trekking belongs to Medium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s that design features did not match to activity area and design factors were not appropriately designed from each brand. Fourth, traveling requires low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 design factors and molding elements in the traveling activity area reflected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activity, hence elements did not match appropriately in each brand. In this wa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design factors such as activity area, customizable fit, sleeve length or hood, pocket, capacity of the backpack and belt can be summarized,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the five design factors are not properly applied in men’s jackets, and backpacks. In conclus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of men’s outdoor jackets and backpacks provides a research direction necessary for expanding domestic outdoor categories and developing differentiated design elements in a changing outdoor wear environment.

한국어

국내 아웃도어 웨어를 대표하는 남성 등산복과 용품을 대상으로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의류 와 용품의 상호관계를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체계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등산용 아웃도어 재킷의 디자인 분석을 위한 디자인 요소로 활동 영역, 맞음새, 소매산 및 후드, 주머니, 배낭의 용량과 벨트 등 다섯 가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매출 및 성장률을 토대로 상위 5위 안에 드는 국내 아웃도어 웨어 브랜드를 선정하 여 2017년도 봄, 여름부터 2018년도 SS까지의 e-카탈로그에서 남성용 방수 재킷과 방풍 재킷 772개 모두를 설문조사용 자극물로 추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의 활동 영역에서는 아웃도어의 대 표격인 익스트림에서 벗어난 트레킹과 트레블링 영역으로 확장되어 익스트림의 출현 빈도가 줄어든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고기능성을 갖추어야 하는 익스트림 활동 영역에서는 착용 목적과 활동 영역에 따른 맞음새, 소매산 및 후드, 주머니, 배낭의 용량과 벨트의 디자인 요소가 적절하게 고려되지 않은 결과이다. 셋째, 트레 킹은 중간 기능성에 해당하며, 분석 결과로는 활동 영역에 따른 디자인 요소와 브랜드에 따른 디자인 요소가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트레블링은 최소한의 기능성을 필요로 하며, 분석 결과로 트레블링 활동 영역에서 디자인 요소의 접목과 활동 영역별 브랜드에 따른 디자인 요소의 이해 부족으로 적절하게 조형 요소가 적용되지 못했다. 종합적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등산용 아웃도어 웨어 중에서도 남성 용 재킷과 배낭의 활동 영역별로 고려되어야 하는 디자인 조형 요소가 적절하게 고려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요소의 이해와 용품과의 구조적 디자인 관여도를 파악하여 착용 목적에 따라 의류와 용품의 상호관계를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체계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남성용 아웃도어 재킷과 배 낭의 구조적 디자인 특성 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변화하는 아웃도어 웨어 환경 속에서 국내 아웃도어 범주 의 확장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아웃도어 웨어의 개념과 현황
2. 등산용 아웃도어 웨어의 종류와 디자인 요소
Ⅲ. 연구결과
1. 등산용 아웃도어 웨어의 구조적 디자인 특성
Ⅳ.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수 Lee, Kyung Soo.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김영인 Kim, Young In.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