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ral history research in Korea began with the effort to find out the truth behind the hidden historical issues that occurred during the mid-1980s. Since then, attempts to record the major issues through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rally has increased. From the late 2000s, the focus shifted to local and smaller village units. In Busan, from 2009 to 2016, 33 oral history projects from 10 government agencies were conducte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at kind of oral records has been produced in Busan from the said period and how they are managed. With these findings, possible solutions to preserve and utilize the oral records as the locality archives are suggested.
한국어
국내 구술사 연구는 1980년대 중후반 현대사 진실 규명을 위해 시작되었다. 근․현대 주요 사건에 대한 구술기록이 다수 생산되다가 2000년대 후반부터 지역과 마을에 대한 구술 사업이 증가했다. 부산에서는 2009년 국립부산국악원의 예술가 구술생애사 사업을 시작으로 2016년까지 10개 공공기관에서 33건의 구술 사업이 진행되었다. 지역민의 기억을 통해 부산의 정체성을 찾고 도시개발로 사라져가는 마을을 기록하는데 구술사는 유용한 방법으로 자리매김하 고 있다. 그러나 구술 사업에서 1차 자료가 제대로 생산되지 않고 사후 관리가 체계적으로 되지 않아 향후 연구자료로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6년 사이 부산지역의 구술기록 생산과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구술기록을 지역 아카이브로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방법과 범위
1.3 선행연구
2. 이론적 배경
2.1 지역 구술기록의 의미와 특성
2.2 지역 구술기록 생산과 관리의 필요성
3. 부산지역 구술기록 생산과 관리 현황분석
3.1 조사개요
3.2 구술기록 생산 현황
3.3 구술기록 관리 현황
3.4 문제점
4. 부산지역 구술기록 생산과 관리 개선방안
4.1 조사개요
4.2 구술기록 생산 개선방안
4.3 구술기록 관리 개선방안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