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시대의 기록물 기술과 접근 - The National Archives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rchival Description and Access in Digital Age that Focuses on the Pract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박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ecause of the creation and transfer of born-digital records, file unit-based record description practices have changed fundamental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rchival description pract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TNA) to maintain intellectual control in the digital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and to support the access to records of users. TNA has created an archival description based on ISAD(G) but, for describing born-digital records, it changed the guideline for descriptive cataloging practices. As the method of ISAD(G) cannot adhere to born-digital records, the next-generation descriptive standard, Records in Contexts (RiC), is still being developed by ICA. In addition to international efforts, we need to build an archival description system that fits our environment, especially because since the year 2000, TNA's online cataloging system has changed and ISAD(G) has been modified in this process. This study also proposed continuous monitoring of digital archival descriptions, provides an integrated approach to analog records and digital content and strengthens experimentation and cooperation toward an uncertain digital future.

한국어

디지털 기록의 생산과 이관으로 인해 파일 단위 기반의 기록물 기술체계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록관리 환경에서 기록물의 지적 통제를 유지하고, 지속적인 이용자의 기록물 접근을 지원하기 위한 기록물 기술 방식을 TNA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TNA는 ISAD(G)를 바탕으로 보존기록을 기술해 왔으며, 디지털 기록의 기술을 위해서는 자체적으로 기술 관행을 수정하였다. 디지털 기록으로 인해 이제는 기존의 ISAD(G) 방식만을 고수할 수 없게 되었고, ICA에서도 차세대 표준인 RiC을 개발하는 중이다. 그러나 국제적인 움직임 외에도 우리 환경에 맞는 기록물 기술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2000년 이후 TNA의 온라인 목록체계는 변했고, 이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ISAD(G)를 변형하였다. TNA의 사례는 기관이 당면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자생력 강화의 필요성을 일깨워 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방식의 기록물 기술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아날로그 기록과 디지털 기록의 통합적 접근 제공, 불확실한 디지털 미래를 향한 실험과 협력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지적 통제의 전통
2.2 기술정보의 품질 관리
2.3 기술표준의 변화
3. TNA 기록물 목록의 발전과정
3.1 디지털 아카이빙 전략과 협력
3.2 기록물 목록 체계의 변화
3.3 디지털 기록물의 기술 전망
4. TNA의 디지털 기록 기술 지침
4.1 ISAD(G) 식별 영역
4.2 ISAD(G) 내용과 구조 영역
4.3 ISAD(G) 접근 및 이용 영역
4.4 ISAD(G) 맥락 및 주기 영역
4.5 ISAD(G) 수정에 대한 시사점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지영 Zi-young Park. 한성대학교 응용인문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