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Risk Communication Model based on the Relational Themes of Emotion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System and Emotions
초록
영어
한국어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위험 상황에서 동기 체계와 정서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건강위험커뮤니케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건강위험 상황을 일반적 위험 상황과 돌발적 위험 상황으로 구분하고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체계와 정서, 그리고 메시지 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방법> 온라인 조사 전문 기관을 이용해 리서치 패널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했다. 조사 기간은 2017 년 5월 9일부터 5월 15일이며 조사 대상은 성별,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바탕으로 전국에 거주하는 20∼60 대 남녀를 대상으로 층화 표집하였다. <결과> 건강위험 상황에서 행동 접근 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와 행동 억제 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는 상황에 대한 공포와 분노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공포가 증대될수록 메시지 효과성 과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건강위험 상황에서는 BAS 활성화에 의한 대책 구성 메시지의 메시지 효과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돌발적 건강위험 상황에서는 제도 보완메시지의 메시지 효과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건강위험 상황에서 동기 체계와 정서의 역할, 그리고 메시지 효과성을 연계함으로써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논의를 확장했다. 또한, 일반적 건강위험 상황과 돌발적 건강위험 상황에 대한 구분을 시도하고 실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필요한 메시지의 효과성을 검토했다는 점에 실용적 함의가 있다.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 개념화
정서의 관계적 테마와 행동 경향
건강위험 상황에서 정서와 동기 체계의 관련성
정서와 인지된 메시지 효과
위험 상황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행동
연구 방법
조사 방법
설문 구성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분석 방법
연구 결과
기술 분석
측정 모형의 타당도 검증과 적합도 평가
연구 모형의 검증
연구가설의 검증
연구문제 분석 결과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