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서의 관계적 테마를 바탕으로 한 한국의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 연구 : 동기 체계와 정서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Risk Communication Model based on the Relational Themes of Emotion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System and Emotions

김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Korean health risk communication model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dentified human motivation system and emotion in relation to a health risk situation. To this end, this study purported to artic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ssage effectiveness, motivation system, and emotions affecting communication behavior in various health risk situations. This study used an online survey of 573 research panels from research institute. Study results showed that both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affect negative emotions in a health risk situation. Especially, as fear increased the perceived message effectiveness and communicative action in health risk situations increased. In the general health risk situation, the perceived message effectiveness of the countermeasure composition message by the BAS activation was measured at the largest, and the messag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supplement message was certainly noted as the largest in the unexpected urgent health risk situation. This study extended the discussion of significant and relevant health risk communication by linking the role of motivation, emotion, and perceived message effectiveness in health risk situation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in that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messages required in actual communication situations by classifying general health risks and sudden health risks in certain cases.

한국어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위험 상황에서 동기 체계와 정서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건강위험커뮤니케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건강위험 상황을 일반적 위험 상황과 돌발적 위험 상황으로 구분하고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체계와 정서, 그리고 메시지 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방법> 온라인 조사 전문 기관을 이용해 리서치 패널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했다. 조사 기간은 2017 년 5월 9일부터 5월 15일이며 조사 대상은 성별,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바탕으로 전국에 거주하는 20∼60 대 남녀를 대상으로 층화 표집하였다. <결과> 건강위험 상황에서 행동 접근 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와 행동 억제 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는 상황에 대한 공포와 분노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공포가 증대될수록 메시지 효과성 과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건강위험 상황에서는 BAS 활성화에 의한 대책 구성 메시지의 메시지 효과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돌발적 건강위험 상황에서는 제도 보완메시지의 메시지 효과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건강위험 상황에서 동기 체계와 정서의 역할, 그리고 메시지 효과성을 연계함으로써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논의를 확장했다. 또한, 일반적 건강위험 상황과 돌발적 건강위험 상황에 대한 구분을 시도하고 실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필요한 메시지의 효과성을 검토했다는 점에 실용적 함의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서론
이론적 배경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 개념화
정서의 관계적 테마와 행동 경향
건강위험 상황에서 정서와 동기 체계의 관련성
정서와 인지된 메시지 효과
위험 상황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행동
연구 방법
조사 방법
설문 구성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분석 방법
연구 결과
기술 분석
측정 모형의 타당도 검증과 적합도 평가
연구 모형의 검증
연구가설의 검증
연구문제 분석 결과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진 Soo Jin Kim.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