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job retention and reemployment in injured workers who returned to work and then analyze factors to maintain their job in job retention group. Methods: We used 4 years consecutive data from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0 injured workers in termination of medical service from January to December 2012.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job retention group(n=695) and reemployment group(n=642) on primary data and confirm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ype of return-to-work.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job maintenance in the job retention group, which divided into the successful group(n=418) and the failure group (n=152). Results: Job retention was shown more in subjects who maintained good relations with a company and worked for a long period, were a regular worker, were given any convenience from a company, worked in large company, and had less pain. Moreover, the factors affecting job maintenance were ranked employment period, level of education, and gender.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job retention can lead job maintenance more efficiently than reemployment.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job retention is workstation factor, and that affects job maintenance is the employment period. We also suggest that institutional strategy related to workstation factor should be needed to make injured workers maintain their job.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산재보험패널조사 1~4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재요양종결 후 직업에 복귀한 산재노동 자를 대상으로 원직장복귀와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원직장복귀자의 고용유지 요인을 분석하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산업재해요양 종결 노동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산재보험패널조사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원직장복귀자 695명과 재취업자 64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요인, 산업재해 요인, 재활서비스 요인, 사업체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직장복귀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년 동안 원직장복 귀를 유지를 하고 있는 418명과 고용유지를 실패한 152명을 대상으로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 요양 기간 중 회사와의 관계가 유지될수록, 상용직일수록, 사업주가 제공한 편의 내용이 있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사업장 노동자 수가 많을수록, 통증이 적을수록, 재활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수록 산 재노동자의 원직장복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직장복귀자의 고용유지는 남자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원직장복귀에는 사업장 관련 요인이, 원직장 고용유지에는 성별과 교육수준, 근무기간 이 영향이 있었다. 산재노동자의 원직장복귀 및 고용유지를 위해서는 사업체 요인을 고려한 제도적 뒷받 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2. 변수의 정의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대상자 특성
2. 직장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원직장유지와 원직장유지실패에 따른 대상자 특성
4. 원직장복귀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