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맞춤형 회상치료 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우울, 삶의 질,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a Personalized Reminiscence Therap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Work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Dementia

권미화, 김수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ized reminiscence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work performance on patients with dementia in the community. Methods: Total 24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12 patients) and patients with mild dementia(12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 Personalized reminiscence therapy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group reminiscence therapy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intervention was applied to once a week for 60 minutes for 12 week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function, the Seoul Verbal Learning Test-Eldery(SVLT-E), the Digit Span Test(DST), and the short-form Korean Version Boston Naming Test(S-K-BNT) were used. Depression, quality of life, work performance was assessed by the Short-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lae(SGDS),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GQOL-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Results: In the immediate recall and delayed recall of SVLT-E, the scores of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hereas the delayed recogn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DS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both groups, and S-K-BNT and COPM showed a significant change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SGDS and GQOL-D,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sco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Personalized reminiscence therapy to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was effective in cognitive function, quality of life, work performance, and depress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individual approaches will be utilized in the application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for dementia patient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경도인지장애 및 경도치매환자에게 개별 맞춤형 회상치료를 적용하여 인 지기능, 우울, 삶의 질 및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재가노인지원센터에서 총 24명의 경도인지장애노인(12명)과 경도치매환자(12명)를 각 6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여 실험군에는 개별맞춤형 회상치료를, 대조군에는 집단회상치료를 12주간 60분씩 주 1 회 적용하였다. 인지기능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노인용 서울언어학습검사(Seoul Verbal Learning Test-Eldery, SVLT-E)와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 단축형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Short-form Korean version Boston Naming Test; S-K-BNT)를 이용하였다. 우울은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Short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lae; SGDS), 삶의 질은 치매노인 삶의 질 척도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 GQOL-D), 작업수행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으로 중재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분석은 기술통계와 비모수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SVLT-E의 경우, 즉시회상과 지연회상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지연재인의 경우에는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DST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 지 않았으며, S-K-BNT와 COPM은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점수의 변화가 나타났다. SGDS와 GQOL-D 에서는 두 집단 모두 중재 전과 후에 유의한 점수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결론 : 맞춤형 회상치료 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과 작업수행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 재가치매환자를 위한 지역사회 작업치료의 적용 시 대상자에 특성 에 맞는 개별적 접근이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대상자 및 연구설계
2. 중재프로그램
3. 연구도구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동질성 검정
2. 맞춤형 회상치료와 집단회상치료의 효과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권미화 Kwon, Mi-Hwa.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
  • 김수경 Kim, Su-Kyoung.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