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야금보』 소재 <편락>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yeonrak> in the Gayageumbo as Kept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최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ayageumbo(伽倻琴譜, Gayageum score) (1934) kept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is the musical score presumed to record the Jul-pungryu[string-風流] in the Honam(湖南)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is musical score, the Jul-pungryu is equipped with Hanbatang ranging from to , but is the only Gagok(歌曲). The Gueum(口音, oral sound) of in the Gayageumbo as kept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is similar to the Bangsanhanssigeumbo(芳山韓氏琴譜, 1916), Dongdaeyulbo(東大律譜, 1921) and Geumeungeumbo(琴隱琴譜, 1938) as the Gayageumbo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ith respect to its time, and for its region, it is very much similar to the Gueum of the Gayageum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Hyangje(鄕制) Jul-pyungryu of Gurye(求禮), Jeonnam(全南). This is because they share the Gayageum gueum. The Gayageum melody of available in the Gayageumbo as kept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Gayageum melody (succeeding the Gayageum melody of in Seoul on the Iwangjikayakbu(李王職雅樂部)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it is similar to the Gayageum melody of of Shin Qoe-dong(申快童) who was active in Yulgye(律契) of the Jeonbuk(全北) region. Consequently, recorded on the Gayageum-bo kept by the National Hangeul Museum has been affirmed that it is the accompaniment melody of that was performed in the Honam region around 1934. In the Honam region during the 20th century, musicians accompanied Gagok with Geomungo[玄琴], Gayageum, Daegeum(大笒), Yanggeum(洋琴) and the lik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e private sector of Seoul, there is rare case of having the Gayageum to be composed as an accompaniment of Gagok, but Yu Dong-Cho(柳東初), Go I-Gon(高利坤, Gunsan), Kim Ok-Dol(Namwon) in Jeonbuk are shown to use the Gayageum as an accompaniment of Gagok. However, in the rural areas, the succession base of music is vulnerable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accompaniment of Gagok in the current Hyangje jul-pyungryu score and it is still difficult to listed to the Hyangje gagok even now. Fortunately, the Gayageumbo kept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as produced in 1934, is recorded with the Gagok ‘Namudo’ that it enables to find out a little about the reality of the accompaniment of Gagok in the Honam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한국어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야금보』(伽倻琴譜, 1934)는 20세기 전반기 호남지역 줄풍류를 수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악보이다. 이 악보에서 줄풍류는 <다스름>부터 <굿거리>까지 한바탕을 갖추고 있지만, 가곡은 <편락>이 유일하다.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야금보』 소재 <편락>의 구음은 시기적으로 20세기 전반기 가야금보인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 1916), 『동대율보』(東大律譜, 1921), 『금은금보』(琴隱琴譜, 1938)의 것과 유사하며, 지역적으로 전남 구례 향제줄풍류에서 전해지는 가야금 구음과 거의 유사한데 이것은 정악 가야금 구음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야금보』 소재 <편락>의 가야금가락은 20세기 전반기 이왕직아악부에서 채록한 서울의 <편락> 가야금가락을 계승한 현행과 다른 부분이 있는데, 그 가락은 전북 지역 율계에서 활동했던 신쾌동(申快童)의 <편락> 거문고가락과 유사하다. 따라서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야금보』 소재 <편락>은 1934년 무렵 호남지역에서 연주됐던 <편락> ‘나무도’의 반주 선율이 분명하다. 20세기 호남지역에서는 율객들이 거문고․가야금․대금․양금 등으로 가곡을 반주했다. 20세기 전반기 서울 민간에서는 가야금이 가곡 반주 악기로 편성되는 경우가 드물었으나, 전북에서는 유동초(柳東初)․고이곤(高利坤, 군산)․김옥돌(남원)이 가야금으로 가곡 반주를 했음이 확인된다. 다만 지방에서는 가곡 전승기반이 약해서인지 현전 향제줄풍류 악보에서 가곡 반주 선율을 찾기가 어렵고, 현재도 향제 가곡을 듣기 힘든 형편이다. 다행히 1934년에 제작된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야금보』에 가곡 <편락> ‘나무도’가 수록되어 있어서 20세기 전반기 호남지역 가곡 반주의 실상을 조금이나마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한글 『가야금보』 소재 <편락>과 구례 향제줄풍류 구음
3. 한글 『가야금보』 소재 <편락>과 신쾌동의 <편락>
4. 20세기 호남지역 가곡 연주 양상
5.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선아 Choi, Sun-A.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