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Sugung music' of Jeong Chun-Pung Duneum
초록
영어
In Pansori, “Duneum” refers to a special tune or melody created by the traditional singer. It is estimated that “Duneum” wa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when Pansori had grown to certain degree enough to create special-part-oriented partial performance. At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Duneum” was developed by many famous artists. A number of works were created. Among them, “Sugung music” by the late eight-myongchang Jeong Chun-Pung was revealed through Yuseonggi record of Kim Chang-Ryong. Later, the sound of the ancient form could be inferred from the “Sugung Music” through the polydor Simcheongjeon Book. The song is also known as the piece that is being performed up to this day by many great singers. The lyrics of “Sugung Music” consisted of six paragraphs: “Induction”, “Sinseon Ridge”, “Sugung Pungak”, “Sugung Scenery”, “Sugung Festival” and “End of End”. In terms of music, Kim Chang-Ryong utilized Gyemyeonjo and Ujo mode. Tone range was one-octave half in an intermediate part, with temporal five-degree Byeoncheong Gyemyeonjo. Breaking sound was replaced with C descending tone. Buchimsae were mainly Daemadi-Daejangdan. Cho Hak-Jin used the leaping melody on Gyemyeonjo mode frequently. Daemadi-Daejangdan, Yingeo-Geoli, Gyodaejuk were applied in Buchimsae aspect. The feature of “Sugung Music”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Sugung Music” of Kim Chang-Ryong and Cho Hak-Jin were different with lyrics, melody and Buchimsae. The lyrics of Okeh record, Kim Yeon-Su, Jeong Kwon-Jin were downsized than Kim Chang-Ryong. In terms of music, Kim Yeon-Su used a one-octave half range, while Jeong used two-octave range with extension of lower tone range. The pattern of changes in melody and Buchimsae was similar in Okeh record and Kim Yeon-Su. However, Jeong composed dissimilar melody on same lyrics. Kim Yeon-Su employed Yingeo-Geoli frequently while Jung utilized Daemadi-Daejangdan a lot. Therefore, “Sugung Music” of Jeong Chun-Pung through Kim Chang-Ryong was different from Cho Hak-Jin in lyrics, beat and melody. In later years, Kim Yeon-Su and Jeong Kwon-Jin transformed the melody and Buchimsae of the lyric as well as adding and omitting parts. While various melodies and modes were used in Kim Chang-Ryong and Cho Hak-Jin, lyrics and musical expressions of Kim Yeon-Su and Jeong Kwon-Jin were brief but clear. This characteristic shows that Pansori lyrics have become more solidified and the melody has been generalized as time goes by.
한국어
판소리에서 더늠이란 어떤 명창들이 만들어낸 특수한 가락이나 선율을 이른다. 더늠은 역사적으로 판소리가 어느 정도 성장하여 특정 대목 중심의 부분 창 연행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18세기 중기 무렵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세기 들어 본격적으로 더늠은 많은 여러 명창들에 의하여 개발 되면서 다수의 작품이 만들어 졌다. 그중 후기 팔명창 정춘풍의 더늠 ‘수궁풍류’가 김창룡의 유성기 음반을 통하여 밝혀졌고, 이후 폴리돌 심청전과 오케판 심청전전집의 ‘수궁풍류’음원을 통해 고형의 소리를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많은 명창들에게 오늘날까지 연행되고 있는 소리이다. ‘수궁풍류’ 사설 내용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입’, ‘신선등장’, ‘수궁풍악’, ‘수궁풍경’, ‘수궁잔치’, ‘종결말미’의 6단락으로 사설이 구성되어 있다. 음악적인 면에서 김창룡은 계면조와 우조 악조로 구성되어있다. 1옥타브 반의 중간 음역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시적인 5도위의 변청 계면조가 활용되고 있다. 또한 꺾는음을 꺾지 않고 도 음을 흘려서 표현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붙임새는 대마디대장단의 사용이 많다. 조학진은 계면조 악조에 도약진행을 많이 사용한다. 붙임새는 대마디대장단과 ‘잉어걸이’, ‘교대죽’을 사용했다. ‘수궁풍류’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김창룡과 조학진의 ‘수궁풍류’는 사설, 선율, 붙임새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오케판과 김연수, 정권진의 사설이 김창룡보다 축소되어 있다. 음악적인 면에서 김연수는 1옥타브 반의 중간 음역대를 사용하며, 정권진은 2옥타브 음역대의 사용과 아래 음역을 확장해서 소리를 구성하고 있다. 선율과 붙임새의 변화 양상은 오케판과 김연수의 소리는 유사한 진행이나 정권진은 동일한 사설에 선율이 다르게 짜여 있는 경우가 있다. 붙임새의 사용에 있어서 김연수는 잉어걸이의 사용이 많고, 정권진은 대마디대장단의 활용이 많다. 따라서 김창룡을 통해 살펴본 정춘풍의 더늠 ‘수궁풍류’는 조학진의 사설과 장단의 차이가 있고, 선율도 다르게 짜여 있다. 그리고 후대에 김연수와 정권진은 사설의 가감과 선율ㆍ붙임새 등에서 변모를 이루었다. 김창룡과 조학진의 수궁풍류는 다양한 선율과 다양한 악조가 사용되는 반면, 김연수와 정권진 바디에서는 사설과 그에 따른 음악적 표출이 간결하면서도 명확하다. 이러한 특징은 후대로 올수록 판소리 사설이 고착화되고 선율이 정형화되어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1. 머리말
2. ‘수궁풍류’의 사설 구성
3. ‘수궁풍류’의 음악적 구성
4.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악보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