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중국 호남성 냉수강나의(冷水江儺儀)의 문화 혼종성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ltural Hybridity of the Nuo Ceremony in Lengshuijiang, Hunan, China

판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ith the Nuo ceremony in Lengshuijiang, Hunan, China as the subject, discusses its cultural hybridity, shaped by dynamic interaction between elite culture of the ruling class and folk culture of the working class. The author argues that the resulting hybridity is formed through homogenizing force of the elite culture and localizing capability of the folk culture.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 author adopts three methodologies: fieldwork, in-depth interview and literature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dual cultural framework, the author observes the dilemma faced by the Nuo ceremony in a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Unlike the prevailing tendency of separating wu (shamanism) from dao (Taoism), by former researches this paper integrates wu and dao, thereby interpreting the hybrid nature of the Nuo ceremony. Through fieldwork, the author studies the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the high and folk cultures as projected in the cultural hybridity of the Nuo ceremony.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Lengshuijiang Nuo ceremony is a hybrid culture stemming from the combination of orthodox religion and folk shamanism during a specific historical period. It is neither a pure high culture of the state nor a pure folk culture. Rather, it is a reconstructed “third culture”. On a macro level, the author observes China’s dual cultural framework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the elite culture and folk culture. On a micro level, the authors reveals,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wu and dao elements in the Lengshuijiang Nuo ceremony, the cultural hybridity as a result of homogenization and localization, which Abstract 298 제53호i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한국어

본 논문은 중국 호남성(湖南省) 냉수강(冷水江) 지역의 나의(儺儀)에 나타나는 문화 혼종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문헌연구, 현지조사, 심층면담 등세 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우선 로버트 레드필드(Robert Redfield, 1897∼1958)문화이원프레임이론에 입각하여 나의가 역사와 사회맥락에서 부딪히는 곤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논문은 민간문화로서의 무(巫)와 엘리트문화로서의 도(道)를 분리시키는 기존 연구경향과 차별화하여 무와 도가 결합된 문화특성으로 나의의 혼종성을 해독하였다. 그리고 현지조사를 통해 나의의 혼종문화에서 비춰지는 엘리트문화와 민간문화의 모순점과 타협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냉수강나의는 특정 기간에 전통종교와 민간무속이 합쳐져서 혼종적 문화특성을 지니게되었으며, 또한 정통적인 국가 상층문화의 형태도 아니고 완전한 하층 민간문화의 형태도 아닌 제3의문화로 재구조화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냉수강나의의 문화 혼종성은 지배계급의 엘리트문화와 농민계급의 민간문화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렇게 생성된 문화 혼종성은 엘리트문화의 동질화의힘과 민간문화의 현지화의 능력 사이의 관계에서 나타난다고 본다. 본 연구는 무와 도의 특성을 겸비한냉수강나의를 통해 거시적 관점에서 지배문화와 민간문화라는 측면에서 중국문화가 지닌 문화이원프레임 구조에 대해 고찰하였고 미시적 관점에서 냉수강 지역 나의가 지닌 도와 무의 혼합현상을 통해 동질화와 현지화라는 문화 혼종성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중국문화의 문화적 특성
1. 중국문화의 이원프레임
2. 중국문화의 혼종적 특성
Ⅲ. 냉수강나의의 문화 이원프레임 분석
1. 지배문화로서의 도(道)
2. 민간문화로서의 무(巫)
Ⅳ. 냉수강나의의 문화 혼종적 특성
1. 지배문화의 동질화 시도
2. 민간문화의 현지화 양상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판싱 Fan Xing. 수도사범대학 무용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