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무용교사의 수행체험을 통해서 본 무용교육의 가치와 의미 : 자문화기술지를 통한 분석

원문정보

The Value and Meaning of Dance Educ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Experience : An Auto-ethnographic Analysis

오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essence and value of dance education by describing the teaching experiences through an auto- ethnographic method.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es on the overall teaching experience ranging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ollege education. Having experienced child dance class, elementary school dance class, and college movement class, I seek to find the desirable education and its significance for students while reflecting on dance teaching method and its meanings. Students get interested in their body parts, and they learn how to communicate and share their feelings with others through dance education. The performance experiences as a dance teacher are as follows. First, a natural culture at home or a home atmosphere has formed through learning-by-playing. Second, my first part-time class has led to my lifelong workplace and developed functionally. Third, I have found that a strict discipline in a dance class could give difficulties for students to express freedom. Fourth, a dance class that gives joy and pleasure changes students’perception of dance, makes them more interested in their bodies, and have more confidence with dance. In conclusion, I have realized that a dance class enables students to widely understand various emotions expressed by the body, discover ‘self’ through this process, and it can be developed into a means of communication to form a community spirit.

한국어

이 연구는 교사를 바탕으로 체험된 경험들을 자문화기술지 탐구양식으로 기술함으로써 무용교육의본질과 가치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는데 있다. 유아교육부터 대학교육까지 전체적인 교사 경험에 대한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기에 연구 참여자로 유아교육 경험부터 초등학교 예술 강사를 거쳐 지금은 대학에서 동작수업을 하면서 무용교수법과 의미를 더욱 다지며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올바른교육과 의의를 찾아보려한다. 무용교육은 동작을 익히면서 몸에 관심을 갖고 소통과 교감을 배운다. 무용교사로서 수행체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자연스런 문화 즉, 집안의 분위기가 놀이형식 학습으로 형성되었다. 둘째, 처음 접하게 된 아르바이트 수업이 나의 평생직장으로 이어지고 기능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셋째, 무용 수업에 엄격한 훈육방식은 자유로움을 표현하기에 어려움을 줄 수 있음을 반성하게 되었다. 넷째, 즐거움을 주는 무용 수업은 학생들에게 무용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바꾸고 몸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가지게 하며 무용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학생들에게 무용 수업은 몸으로 표현하는 여러 가지 감성들을 폭 넓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으로 ‘자신’을 발견하고 더불어 ‘우리’라는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소통의 장으로 발전 할 수 있음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결과
1. 유아들과의 즐거운 만남 : 그들의 눈높이에 나를 맞추다.
2. 예술 강사로서의 임무 : 학생들의 자율적 태도를 길러주다.
3. 교수로서의 역할과 자질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소희 Oh, So hee. 충남대학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