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stablishment and Role-change of the Manchukuo Imperial Army after Manchurian Incident : With Military Course of Study of the Manchukuo Imperial Army
초록
영어
Manchukuo Imperial Army was established with the rise of Manchukuo and its characteristic was more likely of police rather than the military. At first, they deployed to the conflict held by the Anti-Manchu resistances. However, operation was unsuccessful because of their local and family hospitalities. This makes themselves supportive position and depend on Kwantung Army’s order and confirm. When Manchu region experienced the change of Japan-Soviet relations, Japan reformed Manchukuo Imperial Army so its purpose was changed. After Manchurian Incident, Soviet focused on their 5-years economic development plan. Thus they tried to avoid military conflict and used dual strategy toward China and Japan. On the other hand, Japan focused on the Soviet’s reaction and tried to stabilize the Manchu-Soviet relationship for the state confirmation of Manchukuo,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wards United Kingdom(UK) or United States(US). At the military perspective, Japan and Soviet tried to avoid direct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kept their neutrality. However, after Second Sino-Japanese War, Soviet changed their agenda which stated that they will ignore Japan-China conflict. As a result, In August 21th 1937, China and Soviet agreed the Non-aggression pact and Japan reformed the Manchukuo Imperial Army to prepare direct conflict with Soviet, rather than deploying dual strategy. Since then, Japan completed the inner-purge for political safety and stated the law for the separation of military and police as a part of reformation of Manchukuo Imperial Army. Also they established the system for military course. Fundamental ideology of Manchukuo was based on coexistence and sole-body that stated by divinity and Imperial Japan offers a tutorship for the rise of the independent kingdom of Manchukuo. That said, Japanese Imperial Army and Manchukuo Imperial Army are the one being. These courses influenced Manchukuo Imperial Army to change its characteristic based on Japan-China, Japan-Soviet and Manchu-Soviet relationships which ultimately led themselves transfer into imperialism of Japan.
한국어
만주국과 함께 건국한 만주국군은 국방군이 아니라 경찰적 성격을 가진 군대 로 주로 만주지역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반만항일투쟁 세력과의 싸움에 동원되 었다. 그러나 만주국군 안에서도 혈연적, 지역적 감정에 의해 토벌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자,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고 관동군의 명령과 승인을 받 아야 하는 보조적 위치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만주지역에서 소련과의 관계에 변화가 생기자 일본은 만주국군의 정군을 단행하면서 만주국군의 역할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만주사변 후, 소련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극동지역 에서의 충돌을 피하면서 중일 양국에 대한 이원화 정책을 펴고 있었다. 반면, 일본 은 만주국 승인 문제에서 영국과 미국의 눈치보다는 소련의 대응에 주목하면서 외 교적으로 소련이 만주국을 승인하도록 만주와 소련관계를 호전시키려고 노력하였 다. 뿐만 아니라 군사적으로는 소련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면서 서로의 상태를 관망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전면적인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소련은 일중양국의 분쟁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변경했던 것이다. 그 결과 중국과 소련은 1937 년 8월 21일에 중소불가침조약을 맺었고, 이로써 일본은 소련에 대한 양면 정책보 다는 만주국군을 개편하여 소련과의 직접적인 충돌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이후 일본은 점차 만주국군을 정비하기 위하여 국내치안숙정 작업을 완성하고 국병법을 시행하여 만주국의 국군과 경찰을 분리했다. 또한 이 목적을 위하여 만 주국군 지도를 위한 체계를 갖추어 나갔다. 그리고 사상적으로는 왕도의 만주국 은 신의 뜻에 따라 황도 일본이 건설・지도하고 있는 독립국으로 양국은 공존공영 일체라는 원칙을 세운다. 이는 결국 왕도와 황도가 일치하기 때문에 일본군대와 만주국군은 일체라는 논리로 발전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만주국군은 창군이래, 일중관계, 일소관계, 만소관계에 따라 역할이 변화하면서 일본의 황민화체제 안으 로 편입되었다.
목차
2. 창설 초기 만주국군의 역할
3. 일소관계 변화와 만주국군의 역할 변화
4. 장기전에 의한 만주국군의 국외전 투입과 국병법 시행
5. 결론
참고문헌
要旨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