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전후 일본 재일디아스포라 사회의 문화 변용

‘문세광’이라는 소문 - 재일조선인 문학에 재현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Hearsay About Being ‘Mun Se-gwang’ : Focusing on the Aspect of being Revived in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박광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discuss about how ‘Mun Se󰠏gwang,’ who is a criminal of ‘Park Chung󰠏Hee Assassination Attempt Incident,’ was represented in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addressed ‘Park Chung󰠏Hee Assassination Attempt Incident’ relatively early. Lee Hui󰠏seong's full󰠏length novel titled 󰡔A Forbidden Land(禁じられた土地ー見果てぬ夢)󰡕(1979) is one of them. Lee Hui󰠏seong is treating this case even if having not put such a great emphasis in this novel against the backdrop from the year in 1969 to the year in 1975. After that, this incident had ever been recreated in 「Huirakwon(喜樂苑)」 out of 󰡔Ikaino Story(猪飼野の物語󰠏済州島からきた女たち󰠏)󰡕(1987), which is Won Su󰠏il's short story, following about 10 years, and in 󰡔Summer Flame(夏の炎)󰡕(2003), which is Yang Seok󰠏il's long piece, after nearly 30 years. This incident, which had been said with the dichotomous political langauge between South & North Korea and between ‘Mindan(民團)’ & ‘Chongryeon(總聯),’ resulted in having become a rumor equivalent to ‘hearsay going around the world on the lips of many people’ after Mun Se󰠏gwang was punished by death. That respect is being well shown in 「Huirakwon(喜樂苑)」. This novel is well displaying how ‘Mun Se󰠏gwang’ story existed in ‘a rumor’ of the public language, not of the written world. Also, Yang Seok󰠏il's 󰡔Summer Flame󰡕 is being addressed ‘Mun Se󰠏gwang,’ who made up as ‘a monster’ called ‘Song Ui󰠏cheol,’ as another gossip in the 2000s. Its monster󰠏patterned process is what already transcended his free will like the narrative structure in a novel. The monster called ‘Song Ui󰠏cheol’ is being described as ‘political existence’ who moves according to the scenario that was made by historical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not by own choice. Following the occurrence of the incident, all these things such as the result of a criminal investigation just with the confession of ‘Mun Se󰠏gwang,’ the back of the incident not touched by the police dragnet, the case seal & the criminal investigation completion rather close to remaining silent, the dichotomized press reports in the Korean Japanese society, and the revival in literature led to a dubious rumor. It ended up with having become a hearsay of being so󰠏called ‘Mun Se󰠏gwang.’ This writing is clarifying that the narration of ‘Mun Se󰠏gwang’ in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ich led to a rumor, is rather exercising dynamic imagination and is additionally stirring up the overthrow of interpretation between a case and a fiction.

한국어

이 글에서는 ‘박정희저격사건’의 범인 ‘문세광’이 재일조선인문학에서 어떻게 표상되었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재일한국인문학에서 ‘박정희저격사건’은 비교적 일찍이 다뤄졌다. 이회성의 장편소설 『금단의 땅(禁じられた土地ー見果てぬ夢)』(1979)이 그 중 하나이다. 이회성은 1969년부터 1975년까지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에서 그리 큰 비중을 두지 않았지만 이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 후 이 사건은 10여년이 지나서 원수일의 단편집 『이카이노 이야기(猪飼野の物語『済州島からきた女たち』)』(1987) 중 「희락원(喜樂苑)」에서, 그리고 30년 가까이 지나서 양석일의 장편 『여름의 불꽃(夏の炎)』(2003)에서 재현된 바 있다. 남과 북, ‘민단’과 ‘총련’ 사이의 이분법적인 정치 언어로 이야기되던 이 사건은 문세광이 사형에 처해진 이후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며 세상에 떠도는 소식’ 쯤의 소문이 되어버렸다. 그 점에 대해서는 「희락원」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은 ‘문세광’ 이야기가 문자 세계가 아닌 민중 언어의 ‘소문’ 속에 어떻게 존재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양석일은 󰡔여름의 불꽃󰡕에서 ‘송의철’이라는 ‘괴물’로 분장한 ‘문세광’이 2000년대의 또 다른 소문으로서 다뤄지고 있다. 그 괴물화 과정은 소설 속 서사 구조처럼 그의 자유의지를 이미 초월한 것이었다. ‘송의철’이라는 괴물은 스스로의 선택에 의한 것이 아닌 역사적, 심리적 상황이 만들어낸 시나리오에 따라 움직이는 ‘정치적 존재’로서 그려내고 있다. 사건 발생 이후, 오로지 ‘문세광’의 자백뿐인 수사 결과, 수사망이 닿지 않는 사건의 배후, 오히려 함구에 가까운 사건의 봉인과 수사 종결, 그리고 재일한국인사회의 이분화된 언론의 보도 행태, 문학에서의 재현, 이 모든 것은 의구심 어린 소문으로 이어졌다. 이른 바 ‘문세광’이라는 소문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 글에서는 소문으로 이어진 재일한국문학에서의 ‘문세광’의 서사는 오히려 역동적인 상상력을 발휘하고, 또 사건과 허구 사이의 해석의 전복성을 불러일으키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원수일의 「희락원」속 ‘문세광’이라는 소문
3. 『여름의 불꽃(夏の炎)』속 ‘문세광’
4.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광현 Park KwangHyoun. 동국대(서울)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교수, 한일비교문화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