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제강점기 진위청년회의 조직과 활동

원문정보

Jinwi youth association of organization and activities in Japapnese colonial era

성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various social organizati ons, including youth organizations, were organized in various regions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colonial rule policy. The movement of the youth group in Pyeongtaek was the birth of the Jinwi Youth Sports Club in 1917. The sports club organized for the purpose of sound sports activities was reorganized into the Jinwi Youth Club in May 1921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Jinwi Youth Association switched its organization to the Jinwi Youth Alliance in the early 1930s. However, since the actual activities of the alliance between the young and the young are rarely revealed, it seems that the alliance has only maintained its reputation. The activities of the True Youth Conference can be arranged in five categories. The first was internal activity to maintain the organization. Because this was a basic activity to maintain the youth association, the members were retained and a certain monthly pension, or bulletin, was collected. The second was social activity with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mainly an activity that developed in the early days of youth meetings, and held an association of ordinary school students. The hosting of these sports events is considered an important activity that shows the nature of the initial determination of the youth group. In addition, the youth association held a meeting of judges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community. Third, it was an external activity. Most of the activiti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youth association at the time, but it was intended to carry out joint activities by joining the Chosun Youth League and the Chosun Youth Party. Fourthly, it was a sports event. As a general sports event, it held a general sports meeting and a masquerade competition, but as a full-fledged sports event, it hosted a mid-term tennis competition. The fifth is educational activity. The youth council'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the operation of the night school and the Jincheong academy. Pyeongtaek youth in the 1920s, the Japanese occupation areas represent authenticity as a youth club. Members as well as youth association executives were local maintainers. The economic power of teachers, local businessmen and local journalists, including the head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cotton office, was also considerable. They are in Pyeongtaek areas through the Young Men's Association of opinion as well as of the central role of economic activity but war in the 1930s is shaping up, to cooperate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Not not know.

한국어

본고는 일제강점기 평택지역을 대표하는 청년단체인 진위청년회의 조직과 활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는 진위청년회의 조직 과정과 이후 참여한 주요 인물들의 사회적 역할, 둘째는 진위청년회의 사회활동과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3.1운동 이후 식민지배 정책의 변화로 각지에서 청년단체를 비롯하여 각종 사회단체가 조직되었다. 평택지역의 청년단체의 움직임은 1917년 진위청년체육구락부가 모태가 되었다. 건전한 체육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체육구락부는 3.1운동 이후 1921년 5월 진위청년회로 재조직되었다. 진위청년회는 1930년대 초 진위청년동맹으로 조직체를 전환하였다. 그렇지만 진위청년동맹의 실제적 활동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명맥만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진위청년회의 활동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내부 활동이었다. 이는 청년회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활동이었기 때문에 회원을 유지하고 일정한 월연금 즉 회지를 징수하였다. 둘째는 지역과의 사회활동이었다. 이는 주로 청년회의 초기에 전개되었던 활동으로 보통학교 학생의 연합운동회를 개최한 바 있었다. 이러한 운동회 개최는 진위청년회 초기 결성의 성격을 보여주는 중요한 활동으로 평가된다. 이외에도 청년회는 척사대회를 개최하여 지역 사회와 소통을 하고자 하였다. 셋째는 대외활동이었다. 이는 당시 대부분 청년회와 대동소이한 활동이었지만, 조선청년총동맹과 조선청년당에 가입하여 연대활동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넷째는 체육행사였다. 체육행사로는 일반저긴 운동회와 척사대회를 개최하였지만, 본격적인 체육행사로 중선정구대회를 주최하였다. 중선정구대회는 평택소년회에서 주최하였던 것이었지만 이를 인계를 받아 1920년대 중후반 개최하였다. 다섯째는 교육활동이다. 청년회의 교육활동은 야학부와 진청학원의 운영이었다. 초기에 운영하였던 야학부를 평택지역 무산아동의 유일한 교육기관으로 평가받고 있는 진청학원으로 발전하였다. 진청학원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1933년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지만 지역 여론의 도움으로 다시 개교할 수 있었다. 진위청년회는 일제강점기 1920년대 평택지역을 대표하는 청년단체로서 활동하였다. 진위청년회는 평택이라는 지역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근대적 단체로서 조직되었으며, 평택지역에서 근대문명을 수용하여 확산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에 청년회 임원뿐만 아니라 회원 역시 지역의 유지들이었다. 일제 식민기관인 면사무소 면장을 포함하여 교원, 지역 상공인, 지역 언론인 등으로서 경제력도 상당한 계층이었다. 이들은 청년회를 통해 평택지역의 여론과 경제활동의 중심 역할을 하였으나 1930년대 전시체제기가 형성되면서 일제 식민지배에 협력하는 경우도 없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진위청년회의 조직과 변화
Ⅲ. 진위청년회의 사회활동과 역할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성주현 Sung, Joo-Hyun. 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