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of Safety Index for Efficient Safety Control at Costal Sea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afety Index for Efficient Safety Control at Costal Sea. For this purpose, I used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and AHP technique. And I found that safety index of costal sea could consist of topographical factor, tide, technical level of rescue, the number of visitors, safety consciousness of visitors, the case of accidents, the facilities of information delivery, the facilities and manpower of safety control, and prevention and publicity activiti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rational and objective standard safety index at costal sea. But the shortage of empirical evidence on influencing factors on accidents at costal sea.
한국어
이 연구는 연안안전지수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를 활용 해 양경찰의 효율적인 연안해역 안전관리를 도모하고자 함을 궁극적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내용분석과 AHP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지형적 요인, 조석간만의 차, 구조 용이성, 방문객 수, 방문객 안전의식, 사 고이력, 정보전달시설의 수, 안전관리시설 및 인력, 예방홍보활동 등이 안전지수의 구성인자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가중치가 반영된 연안안전지수 평가표를 제시하 였다.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연안안전지수를 도출, 위험지역 선정 기준의 합리성과 객 관성을 제고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그러나 연안사고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실증적 검토는 이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이 연구의 한계라 할 수 있다. 추후 이에 관한 실증연구가 축적되어 연안안전지수의 객관성을 더욱 담보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분석결과
Ⅴ. 정책적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경환·오일성, (2011), “보행자안전지수 개발: 경남도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1(4D): 497-509.
- 2김원철, (1998), “화재위험도지수 평가방법의 개발 및 응용에 관한 연구”, 「화재와 보험」 78: 24-29.
- 3김태연·박진석·손기상, (2005), “정량적 지수에 의한 건설협력업체 안전관리”, 「한국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Apr: 112-117.
- 4김혜진·김홍태·김선영·이문진, (2010), “데이터베이스 기반 선박 위험도 평가에 관한 고찰”,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177-179.
- 5김화영·김주환·강원식, (2013), “선박 사고위험도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9-101.
- 6도로교통공단(2011). 「2010년 전국 시군구별 교통안전지수」.
- 7박미연·박종복·박재학, (2012), “화재발생 요인에 따른 특정관리대상시설등의 위험도 평가 지수의 분석 및 개발”,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 논문집」 5(2): 61-70.
- 8배재현·진상기, (2014), “소방안전 지수로 본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역량에 관한 연구: 서울시 25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3(3): 187-215.
- 9배준기·이은방, (2014), “사고 통계기반 선박사고 예방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8(3): 247-252.
- 10서수은·강경식. (2009). “재해사례와 AHP를 이용한 교량공사 위험지수 산정”,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44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