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교사의 초등사회과 통일수업에 나타난 교수내용지식의 관찰과 분석

원문정보

Observation and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CK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ification Class

김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ation and analyze pre-service teachers’ PCK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ification class. PCK of 24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ification class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using the Cores question and teaching guide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lue of unification is not injected from teachers but the students can judge value about unification by oneself. Second, the reason for unification education is to emphasize the unification benefit and knowledge approach of unification rather than the ethnic national community and emotional approach. Third, the class emphasizes the role of value-neutral teachers. Fourth, it was a class emphasizing active direct experience to help empathy,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pointed out that, unlike other class unification lessons in elementary school, the social studies unification class guides students to make their own judgments based on the facts of unification and recognize unification from multiple viewpoints.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초등사회과 통일수업에 나타난 교수내용지식을 관찰·분석한 연구이다. 총 24명 예비교사들의 초등사회과 통일수업 교수내용지식을 CoRes를 활용한 질문과 수업지도안으로 관찰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에 나타난 초등사회과 통일수업의 특징은 첫째, 통일 의 가치가 교사로부터 주입되지 않고 학생 스스로 통일에 대해 가치판단 할 수 있는 수업, 둘째, 통일교육의 이 유를 기존의 민족공동체적·감정적 접근보다 통일의 편익적·지식적 접근을 강조하는 수업, 셋째, 가치중립적 인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수업, 넷째, 공감·소통·이해를 돕기 위한 활동적인 직접 체험을 강조하는 수업이 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초등의 다른 교과와 달리 사회과 통일수업은 학생들이 통일의 이유를 사실에 근거 하여 스스로 가치판단 할 수 있도록 하고 통일을 다중적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연구의 필요성과 문제
II. 사회과교육에서 통일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III. 연구설계와 대상
1. 교수내용지식 분석도구(CoRes: Content Representations)
2. 연구참여자와 자료수집
IV. 예비교사들의 초등사회과 통일수업교수내용지식
1. 통일수업의 학습주제와 내용
2. 이 통일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이 무엇을 배웠으면하는가?
3. 학생들이 이 통일수업에서 그것을 아는 것이 왜중요한가?
4. 예비교사가 통일(수업)에 대해 알고 있는 것 그리고 학생이 모르는 것
5. 통일수업에서 나타날 어려움과 한계 그리고 교사의 가르침에 영향을 미치는 사고나 지식
6. 통일수업을 할 때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과 유의점
7. 통일수업방법(절차) 선정과 그 이유
8. 수업 아이디어를 둘러싼 학생들의 이해 또는 혼란을 확인하는 구체적인 평가방법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영현 Kim, Young-hyun. 충북 진천 한천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