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발레 운동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혈중지질과 스트레스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50대 중년여성 28명으로 운동군과 대조군 각각 14명씩 무선 배정하여 구성하였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총 50분으로 구성하여 주2회, 12주간 실시하였다. 측정 요인은 혈중지질의 총 콜레스테롤 (TC), 중성지방 (TG),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 (LDL-C) 및 고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 (HDL-C) 4개 항목과,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 (cortisol) 및 성장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은 사전・사후 총 2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3.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운동유무 및 측정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 (Repeated measures of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내 및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혈중지질의 모든 항목에서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운동군에서 TC (p<0.01), TG (p<0.05), LDL-C (p<0.01)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 (p<0.05)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스트레스 호 르몬인 cortisol의 혈중 농도 변화에서도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집단 내 운동군은 유의하 게 감소하였고 (p<0.05), 대조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집단 간 사후 측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한편, 성장호르몬은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집단 내 운동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조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발레 운동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및 스트레스 호르몬 개선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칙적인 발레 운동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및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으로 그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