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 1-B 발표

이중직 목회 허용정책에 대한 실천신학적 고찰

원문정보

A Practical Theology Review on the Acceptance Policy of Bi-Vocational Ministry in the Korean Church

김명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actical-thelogical review of the bi-vocational ministry acceptance policy. Until the early 1990s, the Korean churches grew in size and number with the great revival that took place. However, since the late 1990s the number of churchgoers has declined, and the church finances have also become low, making it difficult for the church leadership to survive financially. Consequently, the number of bi-vocational pastors has rapidly increased. Many denominations of the Korean Church have banned bi-vocational ministry. More and more pastors are suffering financially today, since many of them serve in churches with small congregations. A large number of pastors are forced to take a second job in order to survive financially, causing the number of bi-vocational pastors to continuously increase. There are three types of bi-vocational ministry: the vocation type, the livelihood type, and the exhausted type. The vocation type refers to having another profession while serving for a church. Livelihood type pastors are those who work in places outside the church due to financial problems. Many pastors today belong to the livelihood type. Finally, the exhausted type pastor is one who has chosen to serve in a financially independent state rather than depend on the money they receive from the church, in order to avoid further conflict with the congreg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discussions on whether or not to accept bi-vocational ministry are highly demanded. The identity and ethical aspects of the livelihood type pastors should also be discussed accurately. In addition, the Korean churches should provide concrete policies related to bi-vocational ministry on the church and denomination level. Traditionally, the Korean Church has regarded full-time service in a church as the only type of ministry.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ot an easy matter whether or not to acknowledge bi-vocational ministry as a type of ministry. A newly planted church is usually unable to support itself financially. Thus, a systematic measure of whether or not to accept bi-vocational ministry as full-time ministry needs to be devised. Before discussing its acceptance in the denomination, bi-vocational ministry must be approached with a theological review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It is difficult for present day pastors to lead the lives of the Old Testament priests and Levites who served in temple courts. Unlike the days in the Old Testament where only certain people and their family (the Levites) were called to be priests, in the New Testament anyone who has received Jesus Christ as Savior is called a ‘royal priesthood.' The role of the priest in the Old Testament cannot be a reason for banning bi-vocational ministry. Therefore, a pastor living in the present day must recognize his God-given calling and lead a balanced ministry like the Apostle Paul did. The theological validity of Luther's notion of universal priesthood and royal summons must first be discussed through a theological approach. So far, the Korean churches have traditionally advocated full-time ministry. However, Luther's notion of universal priesthood and royal summons do not stand as reasons against bi-vocational ministry. In fact, Luther himself has demonstrated that there is no theological problem in having pastoral and secular jobs at the same time for a family's livelihood. Religious reformers have recognized every job in the world as God's calling. In other words, they saw all jobs beyond the means of earning a living and regarded them as God’s sacred callings. God himself revealed his working attribute through his creation. The denominations in Korea hold different positions on whether to accept bi-vocational ministry or not.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bi-vocational ministry. One of its positive aspects is that it helps pastors understand better the lives of church members, thus providing a great advantage for them when ministering or writing a sermon. With bi-vocational ministry it is also possible to serve for a church without relying on the salary paid by the church. The negative aspect of bi-vocational ministry, on the other hand, is that can cause confusion of the pastor’s identity. It is also difficult for a livelihood type pastor to have a professional job. Here are some guidelines for bi-vocational ministry in Korea. First of all, policies to help churches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have to be made. A systematic policy should deal with the financial support for churches as well as the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relationship support to help churches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In addition, bi-vocational ministry needs to turn its attention from the traditional church-centered ministry into a ministry that fills the needs of the community. The ban on bi-vocational ministry is intended to encourage pastors to devote themselves to full-time church service instead of leading a secular life. Under the current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bi-vocational ministry needs to be further discussed from a perspective that surpasses its positive aspects - financial independence and evangelism - and tradition. Theological systems and theories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deal with problems that may arise in terms of job ethics and pastoral ethic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교회와 교단에서 논의되고 있는 목회자의 이중직 허용 정책 에 대한 실천신학적 입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중직 목회의성서·신학적 근 거를 고찰한다. 또한 각 교단별 이중직 목회 현황과 교단정책을 분석하면서 한국교회 상황에 서 목회자의 이중직 허용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 교회는 경제 성 장의 둔화와 목회자의 증가로 목회자의 임지가 부족한 상황이다. 교인이 감소하고 교회 재정 이 악화되고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목회자의 경제적인 상황도 악화되면서 이중직 목회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 이중직 허용정 책에 대한 실천신학적인 방향성의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중직의 목회를 많은 교단에서 금 지하고 있지만 이중직의 목회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이중직이 목회를 유지하는 방법 이 되고 있다. 특히 미자립 교회를 담임하는 목회자들이 생계형 이중직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 런 상황이 계속 진행된다면 목회자의 정체성이 약화될 위험성이 있다. 목회자 이중직의 허용 여부에 대한 논의가 교회와 교단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목회자 가정의 재정적인 위험성 과 더불어 이중직 목회자의 정체성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전통적으로 목회자의 전임제를 목회 유형으로 이해해 왔다. 목회자의 이중직을 목회 모델의 한 유형으로 인정하느 냐는 쉬운 문제는 아니다. 교회를 개척해서 미자립 교회에서 자립교회로 성장하는 시대가 아 니다. 이중직 목회를 전임제 목회의 유형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한국 교회는 목회자의 겸직에 대해 교회와 교단차원에서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목회자의 이중직 허용정책에 대한 논의에 앞서서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이해를 바탕으 로 이중직 목회에 대해서 성서적으로 먼저 접근해야 한다. 또한 신학적으로 루터의 만인제사장직과 루터의 소명사상의 신학적 타당성을 논의해야 한다. 이중직 목회의 허용 정책은 국내 교단마다 허용하는 입장과 금지하는 입장으로 나누어진다. 교단에서 이중직 목회를 허용하는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교회에 재정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소신 있는 목회를 할 수 있다. 목회자가 이중직 목회를 수행하면서 성도들의 삶을 좀 더 이해를 할 수 있어서 목회 와 설교에도 도움이 된다. 반면에 이중직 목회를 금지하는 교단에서는 이중직 목회의 부정적 인 측면인 목회자의 정체성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고 본다. 대부분의 교단에서 목회자는 전임 제 목회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방향성 제안을 해보면 먼저 미자립 교회의 자립화 정책이 필요하다. 재정적 지원과 자립을 위한 지원, 행정, 교육, 관 계 등으로 나누어 체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이중직 목회는 전통적인 교회 중심의 목회 에서 탈피하여 지역 사회에 필요한 부분을 채워주는 목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목회자 이중 직의 금지가 목회자에게 세속적인 삶을 따르지 않고 전임목회에만 전념하도록 한 의도에서 마 련된 법이다. 그러나 현재의 급변하는 한국교회의 상황에서 재정적인 자립과 전도의 접촉점이 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전통적인 목회를 넘어서는 다양한 목회모델이라는 측면에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Ⅱ. 목회자 이중직의 성서·신학적 개념이해
1. 이중직 목회의 개념이해
2. 성서적 이해
3. 루터의 신학적 이해
Ⅲ. 교단별 이중직 목회의 현황과 정책 분석
1.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각 교단 입장
2. 각 교단의 이중직 목회의 헌법
3. 이중직 목회에 대한 교단 정책 분석
Ⅳ. 이중직 목회 허용정책에 대한 방향성
1. 건강한 이중직 목회자를 위한 방안
2. 이중직 목회 실천적인 접근 방안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찬

저자정보

  • 김명기 호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