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mparison of Public Responses about National Political Leaders’ Public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Message and Messenger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credibility of national political leaders and the attitudes toward the count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message(apology vs. advocacy) and messenger type(personal twitter vs. spokesperson). As a national political leader, the presidents of 2 countries were used and conducted a research regarding President Trump of the United States and President Moon Jae in of Korea.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on-line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 actual presidents were studied to increase ecological valid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using the President’s SNS directly than the announcement of the spokesperson by the two presidents was positive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the national political leader's public credibility and country attitud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dvocacy message, the use of a spokesperson for both presidents was found to be more positive than direct communication using President’s S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enger type and message type, the interaction effect of national political leader's credibility and country attitude appeared. In other words, in case of apology messages, direct use of President’s SNS was higher than that of spokesperson, but in case of advocacy message, spokesperson were more likely to use spoken language than President’s SNS metho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국가 정치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메시지 유형(사과 vs. 옹호)과 메신저 유형(개인 트위터 vs.와 대변인 발표)에 따라 수용자들의 국가 정치지도자 공신 력(credibility)에 대한 인식과 국가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country)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국가 정치지도자로는 대통령을 상 정했고,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온라인 실험연구를 실시했으며, 실증적 타당도(ecological validity)를 높 이기 위해 실제의 대통령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 두 명의 대통령 모두 사과 메시지는 대변인을 통한 발표보다 대통령 SNS를 직접 활용하는 것이 국가 정치지도자 공신력과 국가태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면에 옹호 메시지의 경우, 두 대통령 공히 대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대통령 SNS를 활용 한 직접 커뮤니케이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신저 유형과 메시지 유형의 상호작 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국가정치 지도자 공신력과 국가태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 다. 즉 사과 메시지의 경우는 대통령 SNS를 직접 활용하는 것이 대변인을 통한 발표보 다 높게 나타났으나, 옹호 메시지의 경우에는 대통령 SNS 방식보다는 대변인을 활용하 는 것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국가 정치지도자와 커뮤니케이션
2) 커뮤케이션 메시지와 메신저
3) 국가 정치지도자의 공신력(credibility)과 국가에 대한 태도
3.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실험자극물
3) 데이터 수집 및 설문조사
4) 주요 변인의 측정
4. 연구결과
1)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유형과 메신저유형에 따른 국가지도자 공신력 차이
2) 한국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유형과 메신저유형에 따른 국가지도자 공신력 차이
3)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유형과 메신저유형에 따른 국가태도 차이
4) 한국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유형과 메신저유형에 따른 국가태도 차이
5)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유형과 메신저유형에 따른 공신력의 상호작용효과
6) 한국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유형과 메신저유형에 따른 공신력의 상호작용효과
7)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유형과 메신저유형에 따른 국가태도의 상호작용효과
8) 한국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유형과 메신저유형에 따른 국가태도의 상호작용효과
5. 논의 및 한계
1) 이론 및 실무적 함의
2)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