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empirical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university. As an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 using 7 environmental movies by the multimedia with excellent learning effect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educational commitment of the learners was utilized. A total of 209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ased o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o grasp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fter conduc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experiment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had no effect on altruism b u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wareness of consequence, the ascription of responsibility, the personal norms, and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s study proved that the sustainable environmental education could form pro-environmental behavior, even though the environmental sense of values h ad not been formed in adolescence, and furthermore, the earlier researches had been mainly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에 대한 환경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친환 경 행동의 대표적인 연구 모형 중 하나인 규범 활성화 이론(Norm Activation Model)을 활용하였다. 또한, 환경교육방법으로는 학습효과가 뛰어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흥 미 및 교육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환경 관련 강의와 함께 총 7편의 환경영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209명의 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환경교육 을 한 후 환경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에 기초하여 실험 설계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검사로 이타적 가치, 결과지각 및 책 임귀속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한 후 환경교육을 한 뒤에 사후검사를 하는 것이다. 사 후검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사전검사에 사용한 것과 같은 것을 반복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 르면 환경교육은 이타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결과지각, 책임귀속 수준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비록, 청소년기에 친환경에 대 한 가치관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대학에서 지속적인 환경교육을 하면 친환경적인 행동을 형성시 킬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과 기존 환경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 행된 데 비해,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 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연구의 한계점 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목차
2. 이론적 배경 및 고찰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결과 및 해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