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11조의 개정 방안

원문정보

Amendment to Article 11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김기영, 박주형, 김선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2018,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Article 11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s unconstitutional, which prohibits outdoor rallies or protests within 100 meters from the National Assembly, the Prime Minister's Office, and the courts. Although it was judged not to have violated the legitimacy of the legislative purpose 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ans, it was judged to have infringed the freedom of demonstration in violation of the minimum of infringement and balance of legal interest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ordered to revise the relevant part in the Article 11 until December 31, 2019. As such,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decided to broaden the rights of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connection with demonstration or assembly places. However,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concerning demonstration or assembly places still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overall prohibition, exceptional guarantee', which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taken in the Constitution which is 'overall guarantee and exceptional limitation'. In addition, it is not in lin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position that, in principle, participants in public demonstrations should be allowed access to public places, and that legality, necessity, and proportionality requirements should be examined individually on a case by case basis.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constitutional meanings of the Article 11 and some cases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reviewed the posi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As a conclusion, we proposed two revisions relating to the disciplines of the Article 11. One was to maintain the principle, or 'overall prohibition and exceptional guarantee', but to expand the scope of the exceptional guarantee, and the other was to completely change the other discipline, or 'overall guarantee, exceptional limitation'.

한국어

지난 2018년 헌법재판소는 국회의사당, 국무총리 공관, 각급 법원의 경계지점100미터 이내 장소에서 옥외집회 또는 시위를 금지하고 있는 집시법 11조에 대하여연이어 헌법불합치 결정을 하였다. ‘입법목적의 정당성’이나 ‘수단의 적합성’을 위배하는 건 아니지만, ‘침해의 최소성’과 ‘법익의 균형성’을 위배하여 집회시위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고 판단하였고, 2019. 12. 31.까지 집시법 11조의 해당 부분을 개정하라고 주문하였다. 이처럼 헌법재판소는 집회시위의 장소와 관련, 집회시위의 자유권을 더욱 폭넓게보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집시법 상 집회시위의 장소 규정은‘원칙적 금지, 예외적 보장’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원칙적 보장, 예외적 제한’ 관계의 기본권 보장 구조를 지닌 헌법의 형태와 반대된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집회시위 참가자의 공공장소 접근권을 원칙적으로 인정하되 사안별로 합법성, 필요성, 비례성 요건을 개별적으로 검토하여 금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국제 인권기구의 입장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집시법 11조의 헌법적 의의와 헌재 결정례 살펴보고, 국제인권기구의 입장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결론으로 집시법 11조의 개정 규율방식을 두 가지로 제언하였다. 하나는 현행 ‘원칙적 금지, 예외적 보장’의 규율방식을 유지하되 예외적 보장사유를 확대하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원칙적 보장, 예외적 제한’의 규율방식으로 완전히 바꾸자는 것이다. 본고가 헌법적 가치 및 국제인권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집시법 11조를 개정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집시법 제11조의 헌법적 의의
Ⅲ. 헌법재판소 결정례 분석
Ⅳ. 국제인권기준에서 바라본 집시법 제11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영 Kim, Gi-Yeong. 경찰인재개발원 공공안전교육센터 교수요원
  • 박주형 Park, Ju-Hyeong. 경찰대학 경찰학과 교수
  • 김선일 Kim, Sun-Il. 경찰대학 경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