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문과학

김춘수 무의미시의 정체성 재규정 - 시기 범주의 조정과 사전적 의미의 탐색을 통한

원문정보

Redefinition of Identity of Chun-soo Kim’s Nonsense Poetry - Through Modification of Period Category and Investigation of Lexical Semantics

이강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redefine the identity of Kim Chun-soo’s nonsense poetry. Since nonsense poetics was announced in the overheated dispute of pure and engagement literature in the 1970s, the definition of the identity of nonsense poetry was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Advocates for nonsense poetry turn away their faces from the evaluation that they are imitators of surrealists in terms of conformist view of history and formality, concerning the contents proposed by negativists presented. Likewise, negativists cover Chun-soo Kim’s unique creative tendency with his political tendency and surrealist theory. What should be premised to solve this contention is objective information about nonsense poetry and the lexical definition of nonsense poetry. The strictness of this job will provide the right starting point for other discourses surrounding literary texts. This study carries out the following procedures in order to redefine the identity of nonsense poetry: First, it is the adjustment of the category of the period of nonsense poetry. It will closely analyze various contexts, including nonsense poetics and explore the period of nonsense poetry that appears finally in the phased procedures. Second, it will look into the lexical definition of nonsense poetry to consider the similarity to and difference from Chun-soo Kim’s nonsense poetics. Third,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his works in the redefined period and the lexical definition of nonsense poetry, the identity of nonsense poetry will be redefined. Of course, all these studies premise the following: first, nonsense poetry has formal uniqueness in the genre of poetry; second, this formal uniqueness is consistent with the lexical definition of nonsense poetry; and third, in the history of Chun-soo Kim’s poetry, this uniqueness appears only in a certain period.

한국어

이 연구는 김춘수 무의미시의 정체성을 재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70년대 순수․참여 논쟁의 과열 속에서 무의미시론이 발표된 이후 무의미시의 정체성 규정 은 한국현대시사에서 논쟁거리였다. 무의미시에 대한 긍정론자들은 부정론자들이 제시한 내용에 있어서 체제 친화적인 역사관과 형식에 있어서 초현실주의의 아류라 는 평가를 외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부정론자들은 김춘수의 독특한 창작적 경향을 그의 정치적 성향과 초현실주의 이론으로 덮어버리고 있다. 이러한 길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제되어야 할 것은 무의미시에 대한 객관적 정보와 무의미시에 대한 사전적 정의이다. 이 작업의 엄밀함은 문학 텍스트를 둘러싼 여타의 담론을 위한 올바른 출발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이 연구는 무의미시의 정체를 재규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첫째, 무의미시 시기 범주의 조정이다. 무의미시론을 비롯한 여러 콘텍스트를 면밀히 분석하여 단계적 절차에서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무의미시의 시기를 탐색할 것이다. 둘째, 무의미시의 사전적 정의를 연구하여 김춘수의 무의미시론과의 유사성과 차이 를 검토한다. 셋째, 재규정된 시기의 작품과 무의미시의 사전적 정의와의 비교를 통하여 무의미시의 정체를 재규정한다. 물론 이러한 모든 연구는 첫째 무의미시가 시 장르에서 형식적 독특성을 갖고 있고, 둘째 이러한 형식적 독특성은 무의미시의 사전 적 정의와 일치하며, 셋째 김춘수 시 이력의 특정 시기에만 이 독특성이 출연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시기 범주의 재조정
Ⅲ. 무의미시의 사전적 정의
Ⅳ. 무의미시를 구현하는 서술적 이미지 : “-있다”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강하 Lee Gangha. 전북대 국어국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