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과학

탈북(脫北) 디아스포라에 대한 남한 사회의 배제와 포용에 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to the North Korean Escapees In South Korea

조현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lear identity of the Escapees from North Korea those are now settled in South Korea and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to them in South Korea as well. in order to analyze above mentioned issues we need to recognize them as a ‘Diaspora’ From the 1990 the number of the North korean asylum seekers increased and attempted entry into South korea under the circumstance,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had better find a way to improve and renew the support programme for the escapees. The escapees from North korea should be treated somewhat differentiated from the ethnic groups living in Korea. the correct recognition of the identity of North korea escapees can derive the right countermeasure. Those terms of both social exclusion and social inclusion are mostly related to the terms of multicultural society at this moment here in Korea thus we tend to treat the escapees as one of the group of multicultural members. However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 level have different ideas about them.

한국어

2014년 한국 사회에 거주하는 탈북자는 27,253명에 이른다. 이들은 남한 사회에 등장한 이후 그 수가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사회적으로 커다란 관심의 대상이었다. 탈북자는 과연 어떤 존재들인가? 우리사회에서 사회문화적 배제의 대상인가 혹은 선택적으로 포용과 통합의 대상으로 위치 지워지는가? 우리사회는 이들의 실존적 정체성을 명확하게 규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탈북자들의 한국거주 현황과 실태를 자세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규정을 시 도한다. 또한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의 측면에서 이들을 향한 배제와 포용의 수준 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탈북자들에 대한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수용성의 정도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으로 탈북자들과 관련된 정책들의 지향점에 관해 제언하고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탈북자 정책이 갖는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배제
2. 사회통합
Ⅲ. 탈북자 현황(現況) 일반
1. 탈북 요인(要因)의 변화
2. 인구학적 지형
Ⅳ. 탈북자 지원의 변천(變遷)
1. 국가정책과 법률지원
2. 남한 정착과 지원과정
Ⅴ. 사회적 배제와 통합의 현실
Ⅵ.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현상 Joe Hyeonsang. 대전신학대학교 신학과 조교수(사회복지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