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문과학

송대 『오등회원(五燈會元)』 시도의미조사 “간(看)” 분석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Attempt Mood “Kan(看)” in 『WuDengHuiYuan』 of Song daynasty

구희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d the change mechanisms and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chinese auxiliary word “kan(看)” through examples in the Song Zen sayings 『WuDengHuiYuan(五燈會元)』. Auxiliary word “kan(看)” was changed from the verb “kan(看)” with the meaning of “see” to the verb with the meaning of “try” and “attempt”, and finally was changed to auxiliary word with the meaning of “try”, “attempt”. Auxiliary word “kan(看) mainly appears after verb or verb phrase, in this case represents a mood, such as “trial” or “attempt”. This kind of various usage of this Chinese auxiliary word “kan” shows us that grammaticalization of the “kan” has already been a lot of progress in Song dynasty.

한국어

본고는 조사 “看”의 변화기제와 역사적 발전 상황, 그리고 송대에 보이는 현상에 대해 송대 선종어록 『오등회원(五燈會元)』에 나타난 예문을 통해 고찰하였다. “看”은 “보다” 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에서 “시도하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변화한 후 마지막에는 조사로 허사가 되는 변화의 과정을 겪었다. 조사 “看”은 주로 동사나 동사구의 뒤에 출현해 “시험삼아 해보다”라는 어투를 나타내게 되었다. 『오등회원(五燈會元)』 중에서 출현하는 예문을 통해 분석해 볼 때, 시도의미조사 “看”은 그 형식이 5종류로 나타난다 : 동사의 바로 뒤에 나타나는 경우(“V看”형 식), 동사-목적어 구조의 뒤에 나타나는 경우(“VO看”형식), 동사-보어 구조의 뒤에 나타나는 경우(“VC看”), 동사가 중복되어 출현하는 형식 뒤에 나타나는 경우(“VV 看”형식), 동사와 같은 동사 사이에 “一” 자가 들어가는 형식의 뒤에 출현하는 경우 (“V一V看”형식)이다. 조사 “看” 앞에 출현하는 동사의 구조가 다양하고 또 “시험삼아 해보다”라는 의미 를 지니는 등 형식과 내용면에서 송대에 이미 허사화가 많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면서
Ⅱ. 시도의미 조사 “看”의 기원과 발전
Ⅲ. 시도의미 조사 “看”의 문법화 규율
1. 의미 적합성
2. 구조 근접(constructional contiguity)
3. 고빈도 사용(frequency)
Ⅳ. 시도의미 조사 “看”의 출현 예문 분석
1.『오등회원(五燈會元)』중 시도의미조사 “看” 출현 형식
2.『오등회원(五燈會元)』중 시도의미조사 “看” 출현 특징
Ⅴ. 마치면서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구희경 Koo Heekyung. 백석대학교 어문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