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문과학

강릉 안인리유적의 제 문제

원문정보

General Issues about Anin-ri Site in Gangneung

심재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ummarizing issues which debated above, Anin-ri site has been known as the very typical site that can be understand the settlement structure in Yeongdong region. After excavation of Anin-ri site in the early 1990s, the excavation of settlement site have increase in number since the 2000s in Yeongdong region. But, because the excavation report of Anin-ri site was not published, the status of Anin-ri site is devaluated relatively. The rough outlines of Anin-ri site that has been known until now provides causes of misinterpretation about entire settlement aspect of Anin-ri site with unclear explanations of stratification interpretation, different interpretations about associated artifacts and non-understandings of interactions among other regions. We can see that Anin-ri site was managed from A.D. 2C to 5C if we generalize the rough outlines and data. To get more accurate aspect of settlement, we must solve the problems through publishing the excavation report of Anin-ri site even if damages occurred in the site in the region and unclear explanations might be in. To get the changing aspect of this settlement, must be generalize particulars as follows : 1. objective establish about the range of settlement 2. providing objective data of stratification for getting the process of occurrence and extinction 3. detailed informations of excavated artifacts : regarding the external exchanges 4. reconstructing paleo-topography for getting the landscape of the settlement If above particulars are solved first, the settlement aspects of Anin-ri site might be revealed specifically.

한국어

강릉 안인리유적은 영동지역의 취락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표지유적으로 알려 져 왔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완전한 형태의 취락 조사가 증가하고 안인리유적 보고서의 미간으로 인하여, 안인리유적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평가 절하되고 있다. 그리고 안인리유적에 대한 단편적인 소개로 인하여 층위 해석에 대한 오류, 동 반유물에 대한 상이한 해석, 타지역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몰이해로 안인리취락의 전체 양상에 대한 왜곡된 해석의 단초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일부 공개된 자료를 근거로 보면, 한반도 서북지역(낙랑), 동북지역(단결-끄로우노프카문화), 호서지역, 호남지역, 영남지역과 다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유적임에는 틀림 없다. 안인리유적은 단편적으로 소개된 자료를 종합하여 본다면 적어도 기원후 2세기 경부터 5세경까지는 영위되었던 취락임은 알 수 있다. 따라서 안인리유적의 취락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취락의 범위에 대한 객관적인 설정, 취락의 발생과 소 멸 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층위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 제공, 출토 유물에 대한 자세 한 정보 제공, 취락의 경관 파악을 위한 고지형의 복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강릉 안인리유적과 경관
Ⅲ. 안인리유적의 제 논의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심재연 Sim, Jae-yoaun. 예맥문화재연구원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